2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청년후계농 영농정착지원금’ 4000명 모집에 총 5803명이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농정착지원금은 농업에 하려고 하는 40세 미만 청년창업농에게 월 최대 110만원의 정착지원금을 3년 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작년보다 모집 인원을 2배 늘였는데도 불구하고 더 많은 인원이 신청했다”며 “농업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이 높다는 방증”이라고 강조했다.
청년들의 농업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는 것은 스마트팜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스마트팜은 온실,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 원예와 축산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작물의 생육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농업을 말한다. 기존 농업과 달리 기후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을 해결할 수 있고, 높은 생산성으로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 따르면 스마트팜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기존 농업보다 33.7% 늘었고, 고품질 생산량도 34.9% 향상됐다. 이에 따라 농업소득은 40.5%나 늘어난 반면, 자가 노동력은 12.5%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
센터에서 교육을 수료한 청년들은 지역 특화 스마트팜에서 3년간 최대 1200평 규모의 농장을 운영하며 초기 창업에 필요한 비용을 모을 수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실제 2020년부터 총 284명이 센터의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창업을 하거나 농업 관련 취업을 했다.
하지만 보육생과 청년농들에게 제공할 스마트팜 시설이 없다. 센터는 매년 208명씩 대상자를 선발해 연간 총 17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한다. 이들이 3년 간 임대팜을 이용 할 수 있어 최소한 51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스마트팜 시설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역 특화 임대형 스마트팜은 1개소당 4헥타르(ha)로 24명만 수용 가능하다.
정부는 2027년까지 전국에 총 11개 시설을 짓는다는 계획이지만, 시설이 다 완공되도 수료생의 절반 가량인 264명만 이용할 수 있다. 현재 계획보다 최소 2배 이상 더 필요한 상황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부가 육성하는 보육생 조차 다 수용할 수 없을 정도”라고 답답해 했다.
예산을 편성하는 기획재정부에서도 스마트팜이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방문한 뒤, 앞으로 미래 농업이 가야 할 방향이라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초기 시설 비용 등이 많이 들어가는 어려움 등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정부에서 어떤 역할을 해 줄 수 있을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