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환은 `호통`과 `망신주기`로 이어졌다. 김 의장이 대표적이다. 그는 지난 5일 정무위원회와 7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21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에 출석했다. 여야 의원들은 카카오 플랫폼 독과점 이슈, 골목상권 침해, 과도한 수수료율 등을 집중 질타했다. 이 외의 질의는 찾아볼 수 없었다. “탐욕과 구태의 상징이다” “갑질이다” “좌시하지 않겠다” 등 김 의장을 향한 호통도 빠지지 않았다. 김 의장은 연신 고개를 숙이기 바빴다.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도 의원들의 갖은 질타에 시달려야 했다.
이에 대해 보좌진 A씨는 `의원 중심의 인사 구조`에서 원인을 찾았다. 국감은 국정을 점검하고 논의하는 중요 국가 행사지만 의원들이 인지도를 쌓기 위한 발판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다. A씨는 “언제든 보좌진을 해고하고 채용할 수 있는 `목줄`을 쥐다시피한 상황은 의원의 의중만 살피게 만든다”고 토로했다. 정책 점검 등 본연의 업무 보다 `국감 스타`를 꿈꾸는 의원들의 바람을 구현하는 게 우선된다는 것이다. 올해 IT 기업인들이 집중 타깃이 된 배경 역시 온라인 플랫폼의 갑질 논란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며 관심이 쏠린 탓이다.
A씨는 “국감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좌진의 고용 안정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고용 불안정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현재와 같은 구태는 매년 반복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 부처나 기관들을 상대로 한 과도한 자료 제출 요구도 여전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는 지난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직자의 자료를 저렇게 무작위로, 또 저희도 알 수 없는 자료를 요청하는 것은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국가 위임 사무나 보조금 사무(자료)는 5년치를 (제출)하려면 한 트럭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역자치단체 산하기관 임원을 지낸 보좌진 B씨는 “공통 자료 요구의 경우 상임위 차원에서 서식의 일원화, 의원실 간 공유시스템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관련 법 정비로 국감 기간을 법률화 해 준비 부족, 자료 부실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