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22년까지 전국 네 곳"…스마트팜 거점 밑그림 나왔다(종합)

김형욱 기자I 2018.04.17 03:00:00

농식품부, 6차 경제관계장관회의서 ''스마트팜 확산 방안'' 밝혀
7월말 2곳 우선 선정…''농가+식품·스마트팜 기업'' 시너지 기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지난달 24일 경북 상주시 ‘새봄 농업회사법인’ 스마트팜을 둘러보는 모습. 농식품부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2022년까지 전국 네 곳에 설립키로 한 스마트팜 거점, 이른바 스마트팜 혁신 밸리의 밑그림이 나왔다. 이곳을 중심으로 스마트팜을 규모화·직접화해 전역으로 확산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이 밑그림 아래서 뿌리 깊은 불신이 있는 농업계와 기업이 힘을 모아 상생할 수 있을지 관심을 끈다.

농식품부는 16일 열린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또 오는 23일부터 7월 중순까지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혁신밸리 유치 입찰을 하고 7월 말까지 우선 부지를 조성할 2개 시·도를 선정키로 했다. 새로운 방식에 익숙지 않은 기존 개별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성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스스로 제어하는 농장을 뜻한다. 최근 국내에도 인터넷 통신 기술(ICT)을 활용해 농장 상황을 살피고 배수 등을 제어하는 기초 단계의 스마트팜이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팜을 보급하는 이유는 더 편하고 생산 효율도 높기 때문이다. 서울대학교는 2016년 조사에서 스마트팜 도입 때 농가 생산성은 27.9% 오르고 고용노동비와 병해충·질병은 각각 16.0%, 53.7%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에 지난해 말 발표한 ‘2018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지난해 말 4010㏊이던 국내 스마트팜 규모를 2022년까지 7000㏊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스마트팜 기술을 접목한 축사도 같은 기간 790곳에서 5750곳으로 늘리고 온실 밖 노지 채소나 수직형 농장도 도입기로 했다. 현대화한 온실(1만500㏊)의 약 70%, 축산 전업농(2만3000호)의 약 25%를 스마트팜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스마트팜 확산 방안 추진계획. 굵은 글씨가 이번에 추가된 내용이다. 표=농림축산식품부


이번 회의에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과제를 내놨다. 핵심은 규모화·집적화다. 전국 네 곳에 조성한 혁신밸리 안에 스마트팜 전문가를 양성하는 보육센터와 교육을 수료한 청년에게 임대할 스마트팜, 기업과 농가가 참여하는 스마트팜 실증단지를 조성해 시너지를 낸다는 것이다.

스마트팜 실증단지에선 농가와 기업,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연구개발(R&D)하고 이를 혁신밸리 내에서부터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스마트팜 필수 요소인 센서와 복합환경제어기 등을 개발하게 된다. 국내에서도 스마트팜 관련 기술이 개발돼 있으나 완성도나 가격 경쟁력 면에서 농업 강국의 기업에는 못 미친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R&D 성과에 속도를 내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농촌진흥청 등 관계부처가 총출동한다.

농식품부는 빅데이터 수집과 농가 정비 편의를 위해 2020년까지 스마트팜 ICT 기자재 국가·국제표준도 마련한다. 검·인증 체계 도입을 위한 매뉴얼도 연내 마련할 계획이다.

개발한 기술의 확산의 이곳에 있는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가 되리라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2022년까지 600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는 목표로 이미 지난달부터 시범 운영기관 네 곳에서 60명에 대한 청년 교육을 시작했다. 이들은 2021년까지 혁신밸리 내 조성 예정인 30㏊ 규모 임대형 스마트팜에서 교육의 결과를 실제 사업화하게 된다. 임대 부지 지원 외에 창업을 위한 자금 지원책도 마련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600여 전문인력을 키우고 4300여 일자리를 새로이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건은 기업 참여와 이에 대한 농가의 우려를 최소화하는 작업이다. 농업계는 일찌감치 대기업의 농업 참여를 우려해 왔다. 대량 생산에 따른 농산물 가격 하락을 우려하는 것이다. 앞서 LG CNS가 새만금 스마트팜 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했으나 농가 반발로 이를 철회했었다. 동부팜한농(현 LG화학 자회사 팜한농)도 유리온실을 이용한 수출용 토마토 생산을 추진했으나 농가 반발에 부딪혀 결국 무산됐다.

김종훈 농식품부 차관보는 “기업의 농업 참여가 제도상으로는 보장돼 있으나 농업인과의 갈등이 문제가 돼 왔고 기업은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싶어도 실증할 공간이 없었다”며 “이번에 조성하는 혁신밸리 내 실증단지가 농가와 기업의 상생협력 모델을 창출하고 다시 지역 단위로 확산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