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확진자 수십만명 집에 갇혀 있으니`…소비둔화 우려 커진다

최정희 기자I 2022.03.20 09:14:29

하루 확진자만 수십만…정점 찍기 전에 스텔스 또 올라
방역지침 계속 완화하는데도 구글이동성지수 되레 하락
2월 車판매, 1년 만에 증가했어도 카드·백화점 매출 `뚝`
코로나19 확산 가팔라진 3월엔 소매판매 더 줄어들 듯
금통위원 "가계저축, 물가·이자부담에 소비로 안 갈수도"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방역지침이 완화되고 있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무서운 기세를 보이자 민간소비가 둔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용카드, 백화점 매출액 증가세가 둔화하고 소비심리도 약해지고 있다. 가계저축률이 높아졌다곤 하지만, 높은 물가 상승과 대출 이자 부담 등으로 저축이 소비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도 흔들리고 있다.

(출처: 기획재정부)


◇ ‘매일 30만~40만명씩 집안에 갇혀’…3월 카드 사용액, 2월보다 감소

기획재정부의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 따르면 2월 국내 자동차 내수판매량은 전년동월보다 1.0% 증가, 1년 만에 증가세를 보였지만 나머지 소비 지표들은 나빠졌다. 할인점 매출이 19.4%나 급감, 한 달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백화점 매출과 카드 국내승인액은 각각 5.9%, 7.6% 증가, 각각 7개월, 5개월 만에 한 자릿 수 증가에 그쳤다. 이는 작년 2월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급증한 기저효과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1월 소매판매가 전월비 1.9% 감소, 한 달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는데 2월에는 자동차 판매량을 감안하면 감소폭이 줄거나 플러스 전환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3월이다. 3월엔 2월보다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1월엔 신차 라인 교체로 가동 중단에 자동차 판매 감소가 소매판매의 60~70% 이상의 영향을 미쳤으나 2월엔 자동차 판매가 증가세로 전환되고 기저효과 등을 제외하면 2월까지는 소매판매가 괜찮을 것”이라며 “다만 3월엔 전체 카드 기준으로 2월보다 감소하고 있다. 일주일 넘게 하루 확진자가 30만~40만명 발생하고 있고 이들이 갇혀 지냄에 따라 운수서비스, 대면소비 등이 감소하는 마이너스 효과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실제로 구글 이동성 지수가 뚝 떨어지고 있다. 소매 및 여가 지수가 2020년 초 코로나19 확산 초기 때보다 9%(12일 기준) 가까이 하락했다. 대중교통 지수도 20% 넘게 급락했다. 소비심리지수는 2월 103.1로 한 달 만에 꺾였다. 소비심리지수를 한 달 선행하는 뉴스심리지수는 3월 95.54(1~13일까지 일일 데이터의 중간값)로 장기 평균선인 100 아래로 하락했다.

방역당국이 사적 모임 인원을 8명으로 확대하고 영업시간을 밤 11시로 완화했으나 코로나19가 워낙 무섭게 확산하고 있는 영향이다. 지난 16일엔 하루 확진자가 62만명을 돌파했다.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사망자 수도 일일 430명에 달했다. 확진자 수가 정점을 찍고 내려오길 기대하고 있지만 방역당국 예상을 빗나가는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다.

*2020년 1월 3일부터 2월 6일가지 5주간의 중간값과 비교, 7일 이동평균 수치 (출처: 아우워월드인데이터)


연초 코로나19 확산세에 대면 소비가 주춤하자 한국은행은 2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민간소비 증가율을 3.5%로 석 달 전 전망치보다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민간소비는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정도(2021년 46.3%)를 차지하기 때문에 성장률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

◇ 물가에 이자 부담까지…저축이 소비로 가는 루트 흔들

한은은 코로나19 확산이 진정되고 방역조치가 완화되면 대면 소비가 늘어나고 추경 등 정부 지원금과 가계저축이 소비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대들이 흔들리고 있어 민간소비가 둔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코로나19가 곧 정점을 찍고 내려올 것이란 기대가 있었으나 이미 정점을 찍고 내려온 영국 등에서 스텔스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다시 확진자 수가 늘어나고 있어 정점을 예측하기 어려운 형국이다. 영국은 연초 7일 평균 18만명을 찍었다가 2월 하순 3만명대로 줄어드는 듯 했으나 최근 10만명대로 다시 급증했다.

가계저축이 소비로 이전될 것이란 기대도 약해지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순저축/순처분가능소득)은 2020년 14.1%, 2021년 12.0%로 10%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물가상승 부담이 커진 데다 가계대출 금리가 급등하면서 이자 부담도 커져 저축이 소비로 이전될 수 있을 지에 의문이 생기고 있다. 체감물가인 생활물가지수는 2월 4.1%에 달하고 1월 가계대출 가중평균금리는 3.91%로 2014년 7월(3.93%) 이후 7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일부 금통위원은 2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소비 여건은 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력 약화, 자산 가격 하락으로 인한 마이너스 부의 효과, 차입 제약 확대에 따른 소비여력 축소, 금리 상승으로 인한 가계의 이자 부담 증가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산재해 있다”며 “소비의 상방, 하방 요인들을 보다 균형된 시각에서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직까지 민간의 실질소비는 2019년 이후 2년간 1.6% 감소,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