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중 주택연금에 가입한 한쪽이 사망하더라도 배우자에게 자동으로 연금 수급권이 넘어가는 신탁 방식의 주택연금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관련 상품을 출시한 지난해 6월 이후 신규 주택연금 신청건수의 절반 가까이(45%)가 신탁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재혼과 60대 이상 ‘황혼 재혼’ 등이 늘어나는 세태와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인 주택 보유자가 살고있는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필요 생활자금을 매달 받는 대출 상품이다. 앞서 주금공은 지난 6월 주택연금 가입자의 연금수급권을 보다 두텁게 보장하는 차원에서 신탁방식의 주택연금 상품을 신규 출시했다. 이는 가입자가 사망하는 경우 배우자에게 주택연금이 자동으로 승계되는 상품이다.
기존 저당권 방식의 주택연금은 부부 한쪽이 사망해 배우자가 연금을 이어 받으려면 주택 소유권을 배우자로 이전해야 했다. 이 과정에 공동상속인인 자녀 동의가 필요했다. 따라서 자녀 한 명이라도 상속을 주장하며 반대하면 배우자가 주택연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반면 신탁방식의 주택연금은 가입자가 주택연금을 가입할 때 소유권을 신탁 등기를 통해 주금공에 이미 넘긴다. 또 반드시 사후수익자로 배우자를 지정하게 돼 있어 가입자가 사망하더라도 자녀 동의 없이 생존 배우자가 주택연금을 자동으로 받게 된다.
◇배우자 사망 후 자녀와 상속 갈등 없어
이런 자동 승계 특성은 신규 주택연금 가입자에게는 매력적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기대수명에 남녀 차가 있는 데다 재혼 및 황혼 재혼 등이 늘면서 자식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배우자를 먼저 챙기겠다는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주금공 관계자는 “부부 중 한쪽이 사망한 후 남은 배우자와 가족 간의 갈등을 우려해 연금 승계가 이뤄지지 못할까 주택연금 가입을 주저하는 이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들이 신탁방식을 찾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남자의 기대수명은 80.5년, 여자는 86.5년으로 기대수명 남녀격차는 6년이다. 2020년 결혼한 신혼부부 5쌍 가운데 1쌍은 재혼이며 같은해 65세 이상 남녀 재혼은 각각 1.4%, 8.5% 증가했다.
여기에 집값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시기 주택연금 가입 및 배우자 승계 시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점도 신탁방식의 장점이다. 저당권 방식 주택연금은 가입 시 주택가격에 따라 비용이 증감하지만 신탁방식은 등록면허세·지방교육세가 7000원으로 고정돼서다. 여기에 기존 저당권 방식에서 배우자에게 승계할 때 내야 하는 상속등기에 따른 등기신청수수료 및 국민주택채권매입 비용 61만4000원(3억 주택 기준)도 신탁방식에는 들지 않는다.
◇신탁방식 선택하면 전세 낀 주택도 연금 가입 가능
신탁방식 주택연금을 이용하면 전세 낀 주택 거주자도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다. 주택연금에 더해 월세까지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기존에는 단독주택 집주인이 방 1칸, 집 1층 등 일부를 세 놓고 보증금을 받으면 주택연금 가입할 수 없었다. 다만, 신탁방식의 경우에도 주택 소유권과 함께 임대차 보증금을 주금공에 이전하기 때문에 임차 보증금을 활용한 투자에는 나설 수 없다. 대신 정기예금금리 수준의 운용수익을 받을 수 있다. 형식적인 과정이나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후 주금공 동의도 받아야 한다.
주금공 관계자는 “늦어도 올해 7월까지는 이용자가 원하는 경우 기존 저당권 방식의 주택연금을 신탁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현재 금융기관 전산 및 업무프로세스 구축 등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