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증(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CD)이란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특정한 생각이나 충동, 이미지가 갑작스럽게 반복적으로 떠오르거나 한 가지 행동에 집착하고 그것에 비정상적으로 몰두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인들은 누구나 어느 정도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말을 어렵지 않게 들을수 있다. 강박증은 정신질환 중 하나다. 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강박장애 건보진료환자는 2010년 2만490명에서 2014년 2만3174명으로 연평균 3.1%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박증 혹은 강박 장애 환자가 가장 많은 연령대가 놀랍게도 20~30대인데, 이는 취업 등 미래에 대한 불안에 더해 직장과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조철현 고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불안에 압도되도록 만드는 생각을 강박 사고, 불안을 없애기 위하여 하는 특정한 행동을 강박 행동이라고 한다.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은 강박증을 진단하기 위한 주요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며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은 뗄 수 없는 짝과 같다. 강박 사고가 일으킨 불안을 강박 행동이 감소시켜 주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강박증은 여러 가지 증상을 가지고 있는데,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결벽증이다. 결벽증은 오염 강박이라고도하며, 자신이 병균에 오염됐고 이로 인해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불안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자주 손을 씻거나 샤워를 하면서 불안을 감소시키려고 한다. 결벽증인 사람들이 손이나 몸을 씻는 행동은 일반인들과 다른데, 되는 대로 씻는 것이 아니라 순서와 횟수가 정해져 있으며, 피부가 손상될 정도로 과도하게 씻기도 한다
이외에도 양치질을 오래한다거나, 가스 밸브,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아 집에 불이 나거나 물난리가 날수도 있다는 불안을 느껴 어느 정도 수준이상 반복적으로 점검을 하는 확인 강박도 있다.
조철현 교수는 “강박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완벽주의자처럼 보일수도 있으나, 강박증은 자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그 생각에 대해서만 반응한다는 점에서 완벽을 추구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박증은 다양한 원인과 증상이 있지만, 심리적인 원인과 생물적인 원인이 모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박증상은 사람 뿐 만이 아니라 개, 말, 새 등과 같은 동물에서도 관찰이 된다. 생물학적인 원인의 경우 뇌 이상 소견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는데, 예를 들면, 뇌의 대표적인 신경 전달물질인 세로토닌 시스템과의 연관성이다. 임상 약물 실험 상 세로토닌 시스템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강박장애 치료에 뚜렷한 효과가 있고, 다른 임상 연구 결과도 세로토닌 및 세로토닌 연관 물질과 강박장애 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강박증상이 악화되고, 주위 상황이 호전되면 강박증상이 완화되는 양상이 여러 연구와 임상 관찰을 통하여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강박증상에 심리적인 원인도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강박증의 치료는 인지 및 행동 치료와 약물치료 등이 우선적으로 권해지는데, 정신분석적 치료가 강박증상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인지 및 행동치료의 경우, 강박증 환자들은 강박적인 생각과 관련된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곤 한다. 이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노출 및 반응 방지’기법이다. 강박증 환자가 불안을 느끼는 어떤 상황에 노출시킨 후에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보이는 강박행동을 못 하도록 막는 것이다.
일례로 오염강박이 있는 경우에는, 손을 씻도록 하는 상황에 노출시킨 뒤, 손을 씻으려는 행동을 일정시간동안 금지한다. 처음에는 환자가 매우 불안해 하지만, 반복적으로 치료받으면서 환자는 불안을 유발시키는 상황에 대해서 익숙해지고, 강박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불안이 줄어든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기법은 다른 치료와 병행하지 않고 단독치료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 본인의 동기가 강해야하고, 지속적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
약물치료는 인지 및 행동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경증을 넘어선 수준의 강박증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된다. 증세의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8~90%는 증상이 호전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행동 및 인지치료와 병행하는 경우 더욱 효과가 좋다고 한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나 플루오세틴, 에스시탈로프람 등이 있다.
조철현 교수는 “강박증은 의심과 관련한 질환으로, 강박증 환자들은 자신이 한 행동이 완벽해졌다고 믿지 못한다”며 “그래서 환자들은 반복적으로 씻는 행동이라던가, 가스밸브나 문의 잠금장치를 계속해서 확인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강박증세를 억제하기 위해 무턱대고 행동을 제한한다거나, 강제로 못하게하는 것은 적절치 못한 방법이며, 문제를 회피만 하는 것도 개인의 생활을 위축시킬수 있기에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치료를 받는 것을 권유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