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위원 리뷰
클라리네티스트 김한 독주회
시각적인 무대 활용 연출 가미
여러 감각으로 즐기는 음악회 제시
[송주호 음악평론가] 좋은 연주를 들려주는 무대 위 음악가와 열린 마음으로 음악에 집중하는 객석의 감상자는 이상적인 음악회의 모습이다. 그런데 임의의 공간과 시간에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는 오늘날의 감상자들은 음악회에 대한 기대가 사뭇 다른 듯하다. 음악회에서 음악 이외의 다른 무엇이 있어야 하는 걸까? 마우리치오 카겔은 “(과거의) 사람들은 눈 뿐만 아니라 모든 감각으로 음악을 즐겼다”고 말한다. 멀티미디어에 익숙한 오늘날의 감상자들과 소통하려면 카겔의 말처럼 여러 감각으로 음악을 즐기는 음악회가 돼야 한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 지난 4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열린 ‘NET; WORK’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의 공연. (사진=금호문화재단) |
|
금호문화재단이 주최하는 ‘아름다운 목요일’의 ‘네트워크’(NET;WORK) 시리즈로 열린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의 독주회(4월 18일 금호아트홀 연세)는 이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음악회로 이목을 사로잡았다. 그는 이 음악회에서 뛰어난 연주실력과 선명한 극적 표현력의 조화로 음악의 감동과 비르투오조의 감탄을 자아냈다. 동시에 무대를 시각적으로 활용하는 연출을 더했다. 청각에 집중하는 감상자뿐 아니라 공연의 시청각 자극에 익숙한 감상자와도 폭넓게 소통했다.
건축물처럼 설계된 프로그램이 무게를 실었다. 전반부는 첫 곡을 제외하고 19세기에 태어난 프랑스 작곡가들의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후반부는 20세기에 태어난 여러 나라 작곡가들의 자유롭고 현대적인 무반주 독주곡으로 채웠다. 시대와 지역, 편성 등을 다양한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대비해 다양성과 자유도가 커진 20세기 이후의 변화를 입체적으로 담았다.
피아니스트 박종해와 함께한 전반부는 일반적인 음악회 형식으로 진행했다. 스트라빈스키의 ‘세 개의 소품’, 풀랑크의 ‘소나타’ 연주는 음악적 표현의 뚜렷한 대비와 이에 동기화된 연주자의 표정과 동작, 악기의 동선 등 시각적 제스처들로 다양한 감정을 시청각적으로 보여줬다. 두 곡 사이에 연주한 생상스의 ‘소나타’와 오네게르의 ‘소나티네’ 연주도 음악적 특징을 강조하고 대비함으로써 시각적 상상력을 자극했다.
| 지난 4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열린 ‘NET; WORK’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의 공연. (사진=금호문화재단) |
|
후반부는 극도로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 네 곡의 무반주 클라리넷 독주곡으로 채웠다. 김한은 곡마다 무대에 설치된 기하학적 소품들로 자리를 옮기며 하이라이트를 받으며 앉기도 하고 서기도 하는 등 적극적인 시각적 연출을 보여주었다. 김한은 자유로운 표현을 극대화했고, 청각뿐만 아니라 시각으로도 각 곡의 이미지를 확장해 무대의 판타지를 끌어올렸다.
첫 곡으로 무대 안쪽 중앙에서 연주한 토마시의 ‘아테네풍의 소나티네’는 고독한 정서부터 음역에 따라 설정된 여러 화자의 대화까지 악기의 한계를 잊게 했다. 무대 왼쪽에서 연주한 데니소프의 ‘소나타’는 음역과 다이내믹, 음색을 최대한 활용하여 극한의 기술을 요구하는 곡으로 김한의 폭넓은 팔레트를 보여줬다. 무대 오른쪽에서 연주한 마르티노의 ‘모음곡’은 세 악장의 음악적 대비와 정서적 대비를 극단으로 치달았고, 무대 중앙 앞쪽에서 연주한 슈톡하우젠의 ‘우정’은 퍼포먼스를 요구하는 작품으로서 음역에 따라 음악적 캐릭터를 만들고 동작과 공간을 구분하여 총체적 음악극을 완성했다.
클래식으로서 유구한 전통을 지키는 노력이 중요한 만큼 오늘의 생명력을 부여하는 새로운 시도 또한 중요하다. 이를 증명한 김한의 독주회를 다시 생각해보며, 이 음악회가 말하고 있는 메시지를 되뇌어 본다.
| 지난 4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열린 ‘NET; WORK’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의 공연. (사진=금호문화재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