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관가 등에 따르면 기재부 출신으로 예산실장, 조달청장을 역임한 박춘섭 전 사무총장은 지난 21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에 취임했다. 차관급 예우를 받는 금통위원은 4년 임기 동안 업무추진비와 차량지원 등을 포함해 약 5억원(연봉 3억원)을 받는다. ‘7인의 현인’로 불리는 명예로운 자리로 경제관료나 금융권에서 매우 선호한다.
|
김승호 인사혁신처장 역시 대한체육회 사무총장(2019년 2월~2021년 2월) 출신이다. 행정안전부 출신인 김 처장은 사무총장 2년 임기를 모두 마친 뒤 약 1년의 휴식을 갖다가, 지난해 5월 인사혁신처장에 올랐다. 김 처장 직전 전충렬 전 사무총장(2017년 1월~2019년 1월)도 행안부 고위 관료 출신이다.
이들 전에도 관료 출신이 총장을 맡은 사례가 있었지만, 양재완 전 사무총장(2013년 4월~2016년 3월)의 경우처럼 문체부 출신 체육 전문 관료가 대부분이었다. 나머지는 체육인 또는 대한체육회 내부승진 사례가 많았다.
체육계에서는 스포츠와 접점이 없는 행정관료들이 연이어 사무총장을 꿰차는 것을 두고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의 복안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체육인 출신인 이 회장이 자신이 부족한 △정부와의 소통 △예산 확보 등을 위해 관가에서도 영향력이 센 기재부·행안부 출신 공무원을 사무총장에 앉혔다는 얘기다. 이 회장이 취임한 2016년 10월 이후 새로 임명된 4명(전충렬·김승호·조용만·박춘섭) 모두 그랬다.
실제 예산확보 면에서는 성과가 있었다. 2023년 대한체육회 예산은 4566억원(사업비 등 포함)으로 2016년(2781억원) 대비 무려 64.2%나 증가했다. 특히 긴축재정 기조에서도 올해 예산은 전년(4210억원) 대비 8.5% 늘어났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체육회도 공공기관으로서 여러 평가를 받고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기관”이라며 “행정관료 출신 사무총장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각종 경영평가 및 예산확보에 큰 공헌을 했다. 또 체육회를 행정 조직으로서 고도화시킨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체육계에서는 박춘섭·조용만 전 사무총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떠나면서 ‘거쳐 가는 자리’로 전략할 수 있단 우려도 크다. 지난해 6월 취임한 박 전 총장은 1년도 못 채우고 떠났다. 최동호 스포츠평론가는 “체육계를 위한 헌신보다 다음 기회를 노리기 위한 자리로 이용하는 사례가 많아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며 “행정관료의 장점도 있지만, 체육 현장에 대한 이해와 행정 능력이 가진 이를 사무총장으로 적극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