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우리나라가 2030년에 달착륙을 계획하고 있지만, 세계 10위권 경제 규모보다 우주탐사 정부정책이 소극적이고, 시기도 늦다”며 “3~4년은 앞당겨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근처에는 따라 가야 한다”고 했다.
이렇게 본 이유는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우주시대가 빨리 발전하고 있고,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가치가 크기 때문이다.
미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으로 2024년에 달착륙을 시작으로 달기지를 건설해 화성과 목성 등 태양계 탐사의 중간기지로 사용하는 우주탐사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등 민간 우주기업들도 본격적인 우주관광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우주기술을 활용한 첨단기술도 실생활에 도입되고 있다. 플라잉카를 비롯해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술 개발이 이뤄지는 가운데 미래 교통이 실현되려면 지상의 통신망과 함께, 인공위성을 활용해야 한다. 하늘에서 이뤄지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항법위성시스템을 활용한 복합위치 탐지 시스템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 미국은 이미 2008년부터 ‘NEXTGEN 2025’ 계획을 수립해 준비하고 있다. 용량이 크고,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수단으로 저궤도 인공위성망 활용도 추진되고 있다. 1만 2000개 이상의 저궤도 인공위성망을 구축한 스페이스X가 대표적이다.
이 전 원장은 “미국이 2024년에 달 기지를 건설하려 하니 우리도 2026~2027년까지는 달착륙선을 보내야 선진국들을 따라갈 수 있다”며 “누리호 성능을 도전적으로 높이고, 우리가 만든 위성들도 더 많이 계속해서 발사해 세계 시장에 진출할 능력을 갖출 때까지 폭넓게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국내 우주 기업 생태계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부가 충분히 물량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봤다.
로켓이나 인공위성을 충분히 발사하도록 우주개발사업을 계속 마련해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우주사업을 해나갈 때까지 지원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 전 원장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을 빠르게 추격해왔지만, 미국, 유럽 등은 우리보다 40~50년 전부터 우주기술 투자를 해왔고, 민간기업들도 이를 바탕으로 성장했다”며 “우리나라가 도전적인 연구개발과 더 많은 우주분야 투자를 통해 우주기술을 국가 전략 기술 차원에서 육성해야 하며, 우리 손으로 달탐사, 화성탐사를 이뤄내면서 우주 개발 기업들도 키워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