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문화대상공연] 내멋대로 인생…젊은 일탈의 대리만족

문화부 기자I 2013.09.30 07:06:00

- 외부기고가 리뷰
뮤지컬 '보니 앤 클라이드'
블루스·재즈 등 장르 넘나드는 음악 강렬
진정성 상실한 캐릭터 희화화는 아쉬워

뮤지컬 ‘보니 앤 클라이드’ 한 장면(사진=CJ E&M).


[이유리 청강문화산업대 교수] 1929년 경제대공황으로 절망에 빠진 미국인들은 비틀린 영웅에 열광한다. 그 대상은 매혹적인 ‘커플갱’. 자살이 끝없던 때 대리충족 대상으로 절묘하게 극적이었을 것이다.

1967년 뉴아메리칸 시네마의 출발이 됐던 아서 펜 감독의 영화 ‘보니 앤 클라이드’는 당시 반전사상과 폭동으로 혼란한 미국 사회에 대리충족의 영웅을 재탄생시켜 줬다. 하지만 2009년 캘리포니아에서 초연해 2013년 한국 무대에 오른 뮤지컬 ‘보니 앤 클라이드’는 그 전설적인 보니 앤 클라이드를 그들의 실존만큼 또 영화만큼 강렬하게 부활시키지는 못했다.

하지만 주목할 요소들도 강하다. 우선 한국이 사랑하는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의 웅장하고 서정적인 그 자신만의 스타일을 극복했다. 블루스·재즈·컨트리·가스펠 등의 장르까지 아우르며 보니 앤 클라이드의 시대로 관객을 안내한다. 거기에 전자기타만으로 비장하게 극장 공간을 울리는 사이키델릭 사운드까지 작품의 시대와 상황, 정서를 다양하게 표현했다.

시간과 공간이 종횡무진하고 실제 영상이 툭툭 관객을 환기시키는 영화 시퀀스 같은 장면들, 당시 텍사스를 연상시키는 목조 벽체 3개로 치밀하게 암전도 없이 전개시킨 무대 전환은 단연 돋보인다. 백미는 따로 있다. 피투성이 보니 앤 클라이드를 미학적으로 강조하며 결말을 먼저 보여주는 첫 장면과 영상은 처참한 그들의 최후를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보니 앤 클라이드가 행복한 얼굴로 미래를 향해 달리는 마지막 장면의 환치는 영화에서는 불가능한 무대 문법으로서 화룡점정이다.

그러나 라이선스 뮤지컬을 한국화하는 데 귀재인 왕용범 연출의 이번 현지화 노력은 지나친 친절로 보인다. 공연은 화려한 할리우드 스타를 꿈꾸는 보니와 최고 저격수를 꿈꾸는 어린 클라이드로 시작된다. 보통 작품에 아역을 등장시킬 때는 성장한 그를 형성한 원인 규명이 목적이다. 그러나 작품에선 이 부분이 전제이면서 설정이다. ‘세상이 우리를 기억할 거야’라고 외치는 몽환적인 일탈자들의 브레이크 없는 시동은 처음부터 걸려 있었던 것. 때문에 작품에서는 당위성보다는 폭발적인 캐릭터의 정체성이 더 중요해 보인다. 가족애를 곳곳에 장치한 설명적인 대본이 그들을 온정적인 평범한 인물로 약화시켜서 더 그렇다.

그런데 주지사·보안관·간수 등 대립하는 인물들은 모두 허세를 부리며 만화처럼 웃는다.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희화화된 연출 설정도 아쉽다. 차라리 모든 인물에 담백한 진정성을 부여했다면 작품 톤의 일관성과 정서적인 공감이 더 컸을 수 있다. 더불어 조연들의 설 자리도 확실했을 것이다. 어린 자신을 붙잡고 ‘이 세계는 죽든지 죽이든지야, 왜 태어났는지, 왜 이런 혼란을 만들었는지’ 흐느끼는 클라이드도 더 자연스러워 보였을 것이다. 이렇게 됐다면 아기 병사에서 ‘마초남’으로 성공적으로 변신한 박형식이 더 깊이 있게 환골탈태할 수 있지 않았을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