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한국의 플랫폼 경쟁환경은 해외와 다르다. 해외는 일부 거대 플랫폼이 80~90% 시장의 차지하고 있고, 특히 유럽은 자국 플랫폼 기업을 찾기가 어렵다”며 “유럽은 DMA를 추진하다가 시장에 부작용을 준다고 해도 어차피 자국 기업이 없기에 문제가 덜하다고 느낄 수 있겠지만 한국은 다르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과 구글·애플 등 해외 공룡 플랫폼이 각축을 벌이고 있어 유럽 등에 비해 독과점 우려가 적다.
권 원장은 사견을 전제로 DMA와 같은 사전규제는 포괄적으로 진행되기에 플랫폼 기업으로서는 오히려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했다. 그는 “국내 플랫폼 기업들로서는 괜히 새로운 사업을 시도했다가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기에 오히려 신사업에 도전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진다”며 “포괄적인 사전규제가 된다면 규제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그는 “외형적으로 플랫폼 독과점에 대한 제재는 활발히 집행되고 있다”면서 “과소집행 증거가 없는 상황이라면 규제수단을 강화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또 “학계에서도 플랫폼을 반드시 통제·제재 해야 한다고 의견이 모인 것도 아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권 원장은 “현재 챗GPT 등 인공지능(AI) 서비스가 나오면서 기존에 시장을 지배했던 GAFA(구글·애플·페이스북·아마존A)가 계속 주도권을 가져갈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어설픈 규제 매스는 시장판도가 급변하는 시기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 현행법에 따른 집행과 자율규제 등을 먼저 시도해보고, 유럽의 DMA 규제가 어떻게 시장에 작동하는지도 충분히 살펴본 뒤 규제 강화 여부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