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약가 정책 변화 예고, 국내 영향은?...“미미할 것”

김진호 기자I 2021.11.28 08:10:00

미국 하원서 사회 지출 및 기후 관련 법안 승인
25일 외신 등 상원서도 통과될 가능성 높다고 보도
법안에 고가 의약품 가격 협상 내용 담겨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화이자 등 CEO가 반론 제기
국내 업계 “이번 법안에 따른 영향 적다”고 관측
전문가 “K-신약의 가치에 맞는 국내 약가 정책 찾아야”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미국 바이오제약 업계가 최근 하원에서 통과된 ‘더 나은 재건 법안(Build Back Better Act)’에 반발하고 있다. 고가 의약품의 가격을 협상하는 내용이 담긴 이 법안이 신약 개발에 투자하려는 기업의 의지를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국내 업계에서는 개발하려는 약물의 종류와 거리가 있는 이번 법안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19일 미국 하원서 더 나은 재건 법안(Build Back Better Act)‘가 통과되자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웃고 있다. (제공=AP Photo/J. Scott Applewhite)


◇ 새 법안 상원서도 통과될까?...화이자 CEO “협상이 아니다”

19일 미국 하원에서 통과된 더 나은 재건 법안은 보육·교육·의료·주거 등 사회 지출 및 기후변화 대응에 2조 달러(한화 약 238조 원)를 투입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특히 이 법안에는 제네릭(복제약) 경쟁이 없고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의약품에 대해 가격협상을 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오는 2025년까지 10개, 2030년까지 100개에 이르는 고가 의약품 가격을 다시 매기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10년간 미국 연방 정부 약물 구매를 위한 지출과 업계 수익이 총 1280억 달러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통과 당일 전한 보도에서 미국 상원의 공화당과 민주당 의석수가 비등하기 때문에 법안이 통과되려면 난항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주일 뒤인 25일 정통한 소식통을 언급하며 “약가 조항에 약간의 변화가 있을 것이며, 12월에 상원서 처리될 계획”이라고 후속 보도를 이어갔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PFE) CEO는 WSJ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가격을 고정하려는 것이지 협상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레너드 슐라이퍼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CEO도 “낮은 가격이 제약사가 신약 기술에 투자하는 것을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미국 투자사인 번스타인의 로니 갈 애널리스트는 “법안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업계 수익이 10년 동안 3~5% 감소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업계 로비가 전방위적으로 이뤄져 미국 정부가 법안에 포함하려 했던 공격적인 약가 정책을 다소 완화됐다는 것이다.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가 제2차 합리적인 약가제도 정책 세미나의 기조강연자로 나서 신약의 가치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제공=김민석TV 유튜브 화면 캡쳐)
◇“국내 업계 영향 크지 않다, 한국의 약가 정책이 관건”

새로운 법안이 가져올 수 있는 미국 약가 정책 변화에 대해 국내 업계에서 크게 우려하지 않는 모양새다.

이번 법안에 포함한 약물은 코로나19 백신이나 당뇨병치료제 등 전 계층 국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됐다고 알려졌다. 신약 개발 업계 한 CEO는 “코로나19 백신은 아직 국내에선 개발되지 않았고, 당뇨병 치료제 경우 새로 개발하려는 국내 업체가 없을 만큼 이미 오래전부터 판이 짜여진 품목”이라며 “다만 국내에서도 개발 중인 해외 제약사 제네릭 제품 약가 조정 상황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백신처럼 범국민적으로 필요한 약을 정부와 상의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려고 전 세계 제약사도 애쓰고 있다”며 “다만 유전병처럼 희귀질환을 가진 환자를 위한 획기적인 신약을 개발했을 때는 국가에 관계없이 그 가치에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2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관으로 열린 제2차 ‘합리적인 약가제도 정책 세미나’에서도 약가 문제가 다뤄졌다. ‘K-바이오 시대를 위한 신약의 가치 반영 방안’이란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는 “한국의 신약 가격 제도가 최근 개발 현장의 사정을 따라가지 못하고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도 못한다”고 꼬집었다.

과거 블록버스터급 신약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약 2~3조 원이었다. 서 교수는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과거보다 개발 비용이 늘어가고 있다”며 “이만큼 돈을 들여 생산한 신약이 블록버스터급으로 성장할 확률도 더 낮아져 수익을 올리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약가 가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1년 동안 50만원이 들지만 20년 수명을 연장해주는 기존 치료제와 80만 원이 드는 대신 35년을 연장해 주는 신약을 가정했다. 그는 “돈은 더 들지만 신약이 기존 치료제보다 15년의 수명을 더 연장해 주는 것”이라며 “이처럼 신약이 환자 삶에 미치는 총체적인 영향까지 평가해 약가를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