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말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과 미 대북정책이 발표될 앞으로의 몇 달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 마지막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북한엔 “언제 어디서든 형식에 관계 없이 마주하겠다”며 조건 없는 대화를 거듭 촉구했다.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한미 정상회담이 대북정책에 대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시간표를 앞당기는 중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하반기로 갈수록 미중 전략경쟁이 확대될 수 있고, 내년 대선에 맞춘 국내 정치 일정도 본격화하는 만큼 유동성이 커진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미 대북정책과 관련해선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제재 완화 등 유연성이 발휘될 가능성이 있다”고 낙관했다. 바이든 정부의 대북 노선이 ‘단계적·동시적 접근’이라는 큰 틀에서 추진될 경우 문재인 정부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읽힌다.
그러면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성과에 대한 존중도 매우 중요하다”며 “한국 정부가 가져왔던 방향성과 성과를 미국이 대북정책을 재검토하고 새로 수립하는 과정에서 많이 반영해주면 좋겠다”고도 했다. 또한 비핵화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역할을 더 많이 만들어내는 쪽으로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가 나오길 기대했다.
다만 “북미 대화만을 마냥 기다릴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고 입장”이라면서 남북 중앙정부 간 공식적 접근이 아니더라도 민간·지방정부 차원의 교류접촉 활성화를 통해 상반기께 남북관계 복원의 의지도 전했다.
그는 이의 일환으로 “코로나19 방역 등 보건의료 협력분야를 시작으로 쌀·비료 등 민생협력으로 확대하는 포괄적 인도협력을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고 재확인했다. 정권이 바뀌어도 일관된 대북정책의 제도화를 위해선 판문점선언의 국회 비준 동의 추진을 재시사했다. 임기 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불씨를 살리려는 정부의 고민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남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방미 준비도 곧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장관은 “지난주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1차 접종을 마쳤다”며 “특별한 이상 반응은 없었고 현재 정상근무 중”이라고 했다. 향후 본격적인 북핵 외교전 및 대화 국면을 대비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백신 1차 접종 뒤 기본적으로 6주 내지 8주 뒤에 2차 접종을 한 후 2주 뒤에야 미국에 들어갈 수 있다”면서도 “방미 시기가 특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과 정의용 외교장관의 방미 뒤에 이뤄질 가능성이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