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팀은 혈중 납의 99% 이상이 적혈구에 쌓이는 것에 착안해 납이 적혈구와 신장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쳐 신장독성을 유발하는 것을 규명했다.
혈액 안의 납 농도가 높아지면 적혈구 세포막 표면에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세린이 노출되고, 신장에 있는 신세뇨관세포는 적혈구를 제거하는 식세포 작용을 하게 된다. 신장 안으로 들어온 적혈구가 파괴되면 적혈구 헤모글로빈 안의 철(Fe)이 신장에 축적돼 신장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ROS)를 일으켜 신장손상(신장섬유증)을 일으키게 된다.
연구팀은 이러한 기전을 동물실험으로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납에 의한 적혈구 포스파티딜세린 노출로 비장 뿐만 아니라 신장 조직의 신세뇨관세포에서도 식세포 작용이 가능한 점을 처음 규명한 것이다.
정 교수는 “국내 만성신장질환 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1 5%이다”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납 노출과 신장질환의 상관성 검토 및 납의 관리방안 제시 등이 가능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연구팀은 미래부 지원을 받아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산하기관이 발행하는 환경분야 국제학술지인 ‘인바이런먼털 헬스 퍼스펙티브’(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온라인판의 지난달 10일자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