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edaily 정명수특파원] 연방준비제도이사회 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6일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날 FOMC 성명서는 8월 성명서와 거의 유사했다.
관심을 모았던 `고용없는 경기회복`에 대한 FOMC의 대안은 성명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돼 있지 않았다. 고용시장과 관련된 언급은 성명서의 3번째 문장에 나온다. FOMC는 "비록 노동시장이 약해졌지만, 소비지출은 튼튼한다(The evidence accumulated over the intermeeting period confirms that spending is firming, although the labor market has been weakening.)"고 말했다.
8월 성명서에도 비슷한 언급이 나오는데 당시에는 `weakening`이라는 표현 대신 `mixed`라는 단어를 썼다.(The evidence accumulated over the intermeeting period shows that spending is firming, although labor market indicators are mixed.)
그외에 이날 나온 성명서는 8월의 성명서와 내용이 거의 같다. 경기 부양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것과 디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다는 것도 같다. 상당 기간 동안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결론도 같다.
월가의 일부 분석가들은 연준리가 노동시장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 둔 것으로 해석했다.
CBS마켓워치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어윈 켈너는 "노동시장이 악화될 경우 연준리가 금리를 내리더라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닷컴의 마크 잔디도 "FOMC 성명서 속에는 노동시장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추가로 통화정책을 완화하겠다는 뜻이 들어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리인하가 노동시장 개선에 도움이 되느냐"는 문제는 논란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무엇보다 "경제지표의 다른 부분이 빠르게 회복되는 것과 달리, 유독 노동지표만 고전을 면치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대목에 가서는 이코노미스트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아메리칸엔터프라이즈의 케빈 하셋은 고용지표에 관한한 연준리가 별로 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그는 "연준리가 1%인 금리를 유지하면서 자극을 주는 것외에 무엇을 더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저금리 정책이 모기지 금리를 떨어뜨려 소비를 유지할 수는 있지만, 적접적으로 고용을 자극하기는 어렵다는 것.
그린스펀도 통화정책의 이같은 한계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날 성명서에 고용시장에 대한 언급을 극도로 자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셋은 "미국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는 경기가 좋아지고 있지만, (고용지표를 끌어올릴 만큼) 강력한 성장은 아니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만약 하반기에 3%의 성장세를 보인다면 전후 미국의 성장률로는 평균적으로 좋은 것이지만 생산성이 급속하게 향상됐기 때문에 그 정도 성장으로는 고용을 촉진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린스펀 의장 자신도 지난 7월15일 의회 청문회에서 노동시장의 성장은 첨단 기술의 발전에서 오는데, 기술 혁신은 그 자체가 예측 불가능한 것이라고 토로한 바 있다. 기술 발전과 세계화에 의한 노동 분업으로 기업들의 생산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경기회복이 곧바로 고용 증가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만약 미국의 고용시장이 이같은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면 연준리의 금리인하만으로는 실업률을 떨어뜨릴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