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판매사들은 29일부터 4월 17일까지 ‘국민참여정책형뉴딜펀드’ 5종 판매에 나선다. 뉴딜 관련 관련 상장 및 비상장 기업의 지분이나 이들이 발행하는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에 투자하는 전문투자형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해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만기 4년으로 폐쇄형이다.
지난해 9월 정부는 뉴딜 인프라 펀드, 민간 뉴딜펀드와 함께 정책형 뉴딜펀드 등 3가지 종류의 한국판 뉴딜 계획을 제시했다. 정책형 뉴딜 펀드가 구체적으로 투자하는 분야는 로봇, 스마트팜, 친환경 소비재 등 디지털 뉴딜 30개 분야와 신재생에너지, 친환경발전, 에너지저장 등 그린 뉴딜 17개 분야다.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이 7조원을 조달해 모펀드를 만들고, 민간금융과 국민공모로 13조원 규모의 자펀드를 만드는 방식이다. 올해 처음 4조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됐다.
이번에 판매되는 ‘국민참여정책형뉴딜펀드’ 전문투자형 사모집합투자기구의 총 목표 금액은 정부 재정 600억원, 공모펀드 1370억원, 하위펀드 운용사 최소 30억원 등을 포함해 총 2000억원이다. 디에스, 밸류시스템, 신한, 씨스퀘어, 오라이언, 지브이에이, 타임폴리오(펀드 2개), 파인밸류, 포커스 등 9개 운용사가 10개의 사모펀드(모펀드)를 운용하고, 골든브릿지운용, 신한운용, IBK운용, KB운용, 한화운용이 이들을 골라 담아 재간접 투자하는 형태로 공모펀드(자펀드)를 운용한다.
공모 펀드를 통한 일반 투자자의 선순위 투자 요건으로 펀드 손실이 일부 방어된다는 점이 가장 큰 미덕이다. 정부 재정 20% 및 사모펀드 운용사 최소 1.5% 등 후순위 투자 비중이 21.5%에 달한다. 선순위 출자금에 대해 20%까지 수익을 우선 배정 받는다. 즉 일반 개인 투자자는 최대 21.5%까지 모펀드의 손실을 보전 받을 수 있고, 수익이 났을 때는 상대적으로 더 나은 수익률을 챙길 수 있다는 의미다. 또 600억원의 정책자금이 펀드 별로 출자돼 각 펀드 규모의 약 30%를 구성한다.
◇ 유사한 구조 ‘소부장’ 사모펀드는 목표액 미달
다만 ‘손실 일부 방어’가 얼마나 큰 강점으로 작용할지는 미지수다. 지난해 금융투자협회와 한국성장금융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투자 확대를 취지로 사모재간접 펀드 3종을 선보였다. 소부장 관련 상장 혹은 비상장 기업의 주식과 메자닌 등에 50% 이상 분산 투자하는 펀드로, 폐쇄형에 사모펀드별 약 32.4%의 손실을 우선 부담하는 구조였다. 지난해 1월 말 약 2주 정도 판매를 진행했으나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당초 목표 금액 75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550억원을 모았다. 금융정보회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9일 기준 ‘골든브릿지레인보우중소성장기업(사모투자재간접)종류A’, ’한국투자소부장코리아혼합자산(사모투자재간접)(C)’, ‘신한BNPP소재부품장비산업혼합자산[사모투자재간접](종류A1)’은 최근 1년 각각 31.42%, 30.82%, 30.78%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은 106.98%에 달한다.
2%대에 달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도 고려할 대목이다. 사모 재간접 펀드 중 가장 설정액이 높은 ‘타임폴리오위드타임’ 펀드는 수수료를 선취하는 A클래스의 경우 판매 수수료 1.0% 이내에 연 보수 0.66%이다. ‘국민참여정책형뉴딜펀드’의 A클래스는 선취 판매 수수료 1.0% 이내에 연 보수 1.0%다. C클래스는 합성 총보수·비용이 2.25% 수준이다. 한국포스증권에서는 선취 판매 수수료 없이 A클래스를 판매할 예정으로 연 보수 1% 수준으로 가입이 가능하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뉴딜 관련 분야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강하고,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산업이 재편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려할 만한 투자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