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이번 주에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10일 개최)에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물가상승률은 4.1%를 기록하며 다섯 달째 4%대 고공 행진을 펼쳤다. 특히 변동성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도 전년 같은 달 대비 3.5%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09년 6월(3.5%) 이후 최고치로 수요 측 인플레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다. 박재완 신임 기획재정부 장관도 인사청문회에서 "3%대 물가 목표는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하반기 공공서비스 요금 인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여 선제 측면의 기준금리 인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크다. 베이비스텝을 강조한 한국은행이 지난 4~5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는 점도 금리결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물가만 생각하기에는 나라 안팎 사정이 심상치 않다. 우선 가계 빚만 800조원이 넘는 상황에서 금리를 올릴 때 가계의 타격이 불가피하다. 부동산 경기가 냉랭한 가운데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도 근심거리다.
또 광공업생산이 주춤하고, 경기선행지수가 석 달째 내리막을 타는 상황에서 금리를 올렸다가 자칫 경기에 찬물을 뿌릴 수도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대외 불확실성도 지속하고 있다. 그리스 신용등급 강등 등 유럽 재정위기가 진행형인데다가, 선진국의 경기회복도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6월 말이면 미국의 2차 양적 완화(QE2)가 끝난다. 때문에 금통위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현재로서는 불확실하다.
6월 국회도 굵직굵직한 사안이 쏟아진다. 저축은행 로비 의혹의 파장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대정부 질문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 각 상임위에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과 반값 등록금,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민생 법안과 국회에 계류 중인 공정거래법, 한은법 등도 처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7일(화) 나오는 신용카드시장 감독강화 추진방안도 주목할 만하다. 카드사 간 치열한 경쟁 탓에 신용카드 발급을 남발하면서 제 2 카드대란 우려가 큰 상황에서 나오는 대책이란 점에서다.
10일(금)에는 5월 생산자물가지수가 공개된다. 생산자 물가는 시간을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물가 향방을 미리 점칠 수 있는 재료다. 8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는 자동차부품업체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지원책이 논의된다. 10일에는 국가정책조정회의가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