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기획재정부의 ‘2023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노인일자리 예산을 올해보다 720억원 증액했다. 다만 공공형 노인 일자리는 60만8000개에서 54만7000개로 6만 1000개 줄이고, 대신 민간형과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각각 2만3000개(16만7000→19만개), 1만5000개(7만→8만5000개) 늘렸다. 고령자 고용장려금 대상 일자리는 올해 9000개에서 6만1000개로 5만2000개 늘리기로 했다.
2017년 44만개에 불과했던 노인 일자리는 지난해 80만개까지 불어났다. 대부분은 정부가 임금을 지원해 한시적으로 늘린 직접일자리 사업의 결과물이었다. 월 30시간을 일하고 27만원을 받는 공공형 노인일자리 양산으로 ‘초단기 근로자’도 해마다 급증했다.
|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공공형 노인일자리를 줄일 경우 저소득층 등 민간 취업이 힘든 고령층의 소득이 감소할 수 있다”며, 반발했다. 이에 추 부총리는 지난 7일 “공공형 일자리를 늘리는 부분을 국회와 상의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기재부 관계자는 “농어촌지역 같은 경우 민간 및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는 등 현장에서 고령층 노인들의 일자리 관련 우려가 있다”면서 “이런 상황을 감안해 공공형 일자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예산 증액 검토 배경을 설명했다.
주요 기관들이 앞다퉈 내년 우리나라가 1%대 저성장 국면에 빠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 상황에서 ‘고용 한파’를 우려한 조치라는 해석도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취업자 증가폭이 올해 80만명대에서 내년 8만명대로 10분 1수준까지 뚝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상황에서 재정일자리마저 축소할 경우 고용지표에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노인들의 경우 기업에 지원금을 준다고 바로 민간부문에서 취업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장기적으로 민간 채용 확대를 위해 고령층을 노동력으로 간주하고, 직업훈련 확대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