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보유국가를 자처하는 북한은 미국의 항모강습단 정도로 자신의 행동을 억제하지 못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북한은 미 로널드레이건 항모강습단과 우리 군이 동해에서 연합훈련을 하고 있었던 지난 9일까지 최근 보름 동안 7차례에 걸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北 ‘전술핵운용부대’ 훈련 공개…핵 위협 현실화
북한은 10일 이를 ‘전술핵운용부대’ 훈련이었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전술핵운용부대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반적으로 전술핵은 국지적인 전투에서 승리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기다. 폭격기나 야포로 투발할 수 있는 핵폭탄부터 핵가방이나 핵지뢰 같은 소형 핵무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원자폭탄의 위력은 15킬로톤이었다. 당시 폭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6㎞까지 초토화 됐고 총면적 11㎢가 피해를 입거나 화재가 발생했다. 초기 폭발로 사망한 사람만 7만 명에 달한다.
미국은 1958년부터 전술핵을 주한미군에 배치하기 시작해 그 수량이 한때 950여 기에 달했다. 1991년 9월 당시 조지 부시 대통령의 핵무기 감축 선언에 따라 주한미군에 배치됐던 전술핵무기를 철수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1년 뒤 한반도 비핵화를 선언한 바 있다.
◇NPT·한반도 비핵화 원칙 고려…‘핵 공유’ 대안으로
북한의 핵 공격 위협이 현실화 한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의 ‘핵우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 입장에선 실제로 핵 공격을 받았을 때 미국이 핵 전쟁 확산의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약속을 이행할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미 의회나 국민들의 반대도 변수다. 한반도 전술핵 배치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핵확산방지조약(NPT) 등 국제사회에 공약해 온 비핵화 규범을 이탈해야 하는 만큼 지상 배치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비확산 국제 규범에서 탈퇴해야 하기 때문에 국제 제재 등이 뒤따를 수 있다. 주변국인 대만과 일본에서도 핵무장론이 불거져 ‘핵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
하지만 한반도에 실질적인 핵을 둔다는 점에서 독립적 핵무장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이 때문에 미국 전술핵의 한반도 전개가 현재로선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꼽힌다. 핵을 탑재한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와 상시 배치에 따른 이른바 ‘핵 공유’다.
미 핵 전력을 한반도 상공이나 주변 해역에 공백 기간 없이 출동시키거나 순환 배치시켜 상시 배치의 효과를 갖게 한다는 전략이다. 이렇게 되면 미국의 핵 전력을 유사시 즉각 활용할 수 있고, 북한 도발도 억제할 수 있다는 논리다. 순환 배치가 거론되는 미 전략자산으로는 일본 요코스카 기지가 모항인 미7함대 로널드레이건 항모전단이나 괌 기지에 배치된 B-1· B-2·B-52 전략폭격기, 원자력 추진 잠수함 등과 함께 전략자산급인 F-22·F-35 스텔스 전투기 등이 꼽힌다.
미국의 전술핵무기는 B61 계열이 대표적이다. 냉전 종식과 함께 대부분을 폐기했지만 현재도 본토에 500여기, 유럽에 180여기를 보유하고 있다. 트라이던트-Ⅱ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에 장착되는 W76-2와 5킬로톤급 핵탄두를 장착한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등도 핵 공유 대상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