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디젤차 매연저감장치(DPF) 경고등 '스트레스'

김형욱 기자I 2015.07.31 01:00:00

일정 속도·시간 달려 내부 매연찌꺼기 연소해야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디젤자동차를 타는 A씨는 출근길에 계기판에서 돼지꼬리같이 생긴 경고등이 떴다. 퇴근 후 정비소에 가야 하나 고민하던 사이에 어느덧 경고등은 사라졌지만 찜찜해 결국 정비소를 찾았다.

3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디젤차 운전자가 급격히 늘며 매연저감장치(DPF) 경고등을 몰라 애를 먹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DPF란 디젤 분진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로 매연(PM)을 50~80%까지 줄여주는 장치다. 탄화수소 찌꺼기를 비롯한 유해물질을 모아 필터로 걸러낸 후 일정량 이상이 쌓이면 전자제어장치(ECU)가 연료를 추가 분사해 550도 고온으로 태워준다. 2005년부터 디젤차에 의무 부착이 법제화됐다.

DPF 경고등 점등 모습. 삼각형 모양인 경우도 있다.
문제는 DPF는 일정 조건이 되지 않으면 DPF에 찌꺼기가 쌓여도 연소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매연 찌꺼기가 일정량 이상 쌓이면 경고등이 들어온다. 이 자체로 불량은 아니지만 점등 후엔 찌꺼기를 태워줘야 한다. 방치하면 엔진 성능 저하를 시작으로 시동 꺼짐 등 각종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방법은 쉽다. 회사·차종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적정 속도와 엔진회전수(RPM)을 유지한 채 일정 시간 이상을 달리면 된다. 현대 싼타페 기준으로 시속 60㎞ 이상, 엔진회전수(RPM) 1500~2500로 25분 이상 달리면 된다. 신차를 살 때나 홈페이지에 있는 설명서에 자세한 내용이 소개돼 있다.

이를 통해서 해소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관련 부품 자체가 불량이어서 DPF가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이다. 경고등이 일정 기간 주행에도 사라지지 않으면 정비소를 찾아야 한다. DPF는 그 자체로 200만~400만원의 고가 부품일 뿐 아니라 DPF가 제 기능을 못하면 엔진 같은 주요 부품의 손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정비소는 DPF를 강제로 태우거나 청소하는데 이 이후에도 똑같은 문제가 생기면 원인이 다양하고 복잡해 수리가 쉽지 않다는 게 정비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디젤차 성능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선 알맞은 엔진오일을 넣고 가끔 고속주행해서 DPF를 태워줘야 한다”며 “경고등이 자주 들어오거나 차가 노후하면 정비소를 방문해 청소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DPF 단면 모습. 가운데 필터 부분에 매연 찌꺼기가 쌓여 제때 연소 안되면 차량 자체의 결함이나 성능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