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비단벌레 말다래·머리카락 출토…쪽샘 44호분 주인은 어린 신라 공주였다

이윤정 기자I 2023.07.06 05:30:00

쪽샘 44호분 10년 발굴조사 성과
금동관 등 최고급 유물 출토
비단벌레 장식 말다래 첫 확인
머리카락·3색 직물도 나와

[경주=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영롱한 금록빛의 비단벌레 날개가 화려한 꽃잎 장식으로 둔갑했다. 날개 가장자리에는 금동 테두리를 달아 열십(十)자 모양으로 배치했다. 가운데에 원형의 금 장식품을 엮으면 반짝반짝 빛나는 화려한 꽃잎이 된다. 가로 80㎝, 세로 50㎝ 크기의 바탕 틀을 만든 뒤 직물을 여러겹 덧대 만든 말다래(말 탄 사람 다리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밑에 늘어뜨리는 판) 장식이다. 한쪽에만 꽃잎 장식 50개가 부착됐는데 비단벌레 약 200마리가 쓰인 셈이다.

경주 쪽샘 44호분 비단벌레장식 말다래 재현품(사진=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의 뛰어난 공예 기술을 짐작게 하는 1500년 전 말다래가 공개됐다. 4일 경주시 경주로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열린 ‘쪽샘 44호 발굴조사 성과 시사회’에서다. 쪽샘 44호분에서 나온 비단벌레 말다래 하부 죽제 편조물을 바탕으로 ‘비단벌레 꽃잎장식 죽제 말다래’를 재현한 것이다.

그간 황남대총과 금관총 등에서 비단벌레를 활용한 장식이 출토된 적은 있지만, 비단벌레 날개로 장식된 말다래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쪽샘 44호에서는 전형적인 신라 왕족의 호화로운 장신구와 최상위 계층의 신라 고분에서만 나오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며 “특히 비단벌레 날개를 활용한 장식 유물은 황남대총, 금관총 등 신라 고분 중에서도 최상급 무덤에서만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에 천마총, 금령총, 금관총에서 출토됐던 말다래는 하늘로 날아오르는 천마(天馬)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게 대부분이었다. 최 청장은 “이번 출토 유물은 비단벌레를 모티브로 매우 화려한 장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당시 찬란했던 신라 공예 기술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쪽샘 44호분 주인공의 착장 장신구 일괄 재현 일러스트(사진=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0년간의 조사…780여점 최고급 유물 나와

쪽샘 유적은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이 묻힌 집단 묘역이다. 쪽샘 44호분은 2007년 폐고분 조사에서 처음 위치를 파악했다. 이후 2014년 5월부터 정밀 발굴 조사를 시작해 지난달 10년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그 결과 금동관, 금동신발, 금은제 장신구 등 총 780점에 달하는 최고급 유물들이 쏟아져나왔다. 최초의 신라 행렬도를 비롯해 각종 제사 유구와 유물이 무덤 밖에서 확인됐다.

무덤의 주인은 키 130cm 내외, 10세 전후의 어린 신라 공주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금동관과 금동 신발의 크기, 허리띠의 위치 등을 고려해 판단한 결과다. 무덤 주인은 금동관을 비롯해 금귀걸이, 반지 등 화려한 장신구를 착용한 상태였는데 다른 무덤에서 나온 유물들에 비해 크기가 작다. 최 청장은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공주를 위해 특별히 만든 물건일 것으로 추정된다”며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는 여러 의문은 앞으로 학제를 뛰어넘는 협업 연구와 과학적 분석을 통해 하나씩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단벌레(왼쪽)와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말다래 세부 모습(사진=국립생태원·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람의 머리카락도 나왔다. 금동관 주변에서 나온 5cm 폭의 유기물 다발을 현미경으로 살펴본 결과 이는 사람의 머리카락인 것으로 파악됐다. 삼국시대 유적에서 사람의 머리카락이 나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사실상 첫 사례인 셈이다. 모발의 경우 산화되고 부식되면서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산소가 차단되거나 물이 차 있는 등 특수한 환경에서는 유지가 되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정인태 학예연구사는 “머리카락을 감싼 직물의 형태를 통해 머리카락 여러 가닥을 한 데 묶은 머리 모양새까지 추정할 수 있다”며 “다만 모발의 상태가 좋지 않아 DNA 분석 등은 힘들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사상 유례가 없는 최고급 직물들도 확인됐다. 고대 직물은 보존이 어려워 그간 미륵사지 석탑 등 일부에서만 확인이 됐다. 쪽샘 44호분의 금동관 내부에서는 마직물·견직물 등이 발견됐다. 특히 붉은색, 보라색, 노란색 3가지 색실을 사용해 무늬를 만든 ‘삼색경금(三色經錦)’이 출토됐다. 금동신발에서는 산양털로 만든 모직물이 최초로 나왔다. 심현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은 “무덤에서 나온 직물 중 염색된 색상이 나온 것은 처음”이라며 “삼국시대 직물 자료로는 처음 실물이 확인된 만큼 직물 연구사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쪽샘 44호분 출토 현장 공개(사진=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