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F 2022]"환경 착취 서비스 비용, 미래세대에 전가 안될 일"

김은비 기자I 2022.05.31 05:30:00

ESF 2022 연사 권우현 환경운동연합 활동가 인터뷰
"정부, 밑 빠지 독에 물 붓기 식 지원 멈춰야"
“온실가스 감축 목표제로 기업 규제·지원 강화해야”
"환경 생각하는 척 ''그린워싱'' 규제 방안도"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기성세대가 이용한 ‘환경 착취 서비스’의 비용은 현재의 청년과 미래세대가 지불해야 합니다. 막대한 비용이 들더라도 지금 당장 기후위기 대응에 나서야 하는 이유입니다.”

권우현(29)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당장 움직여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힘줘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1993년 결성된 국내 환경단체로 현재 전국 50개 지역에 조직을 두고 활동을 펼치고 있다. 권 씨는 2018년부터 연합에서 활동하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석탄발전 퇴출, 탈원전, 재생에너지 확대 운동 등을 하고 있다. 그는 오는 6월 15~16일 ‘기후위기:가능성 있는 미래로의 초대’를 주제로 열리는 제13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첫째 날 ‘영 포럼’ 세션에서 청년 활동가로서 느낀 기후변화 대응 방안에 대해 말할 예정이다.

권 씨가 단기간 내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운 산업·기업의 존재를 부정하는 건 아니다. 이들 기업의 부담이 일반 노동자에게 직결되는 것 또한 자명한 일이다. 권 씨는 그렇기에 어느 때보다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기후과학에 근거한 탄소예산에 입각해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제 방식으로 설정하고 이를 규제·지원할 수단을 강화해야 한다”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강화나 탄소세 도입 검토 등은 새 정부의 대선 공약 사항이기도 했다”고 했다.

권우현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정부 및 기성세대의 기후변화 대응은 책임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사진=권우현 활동가)
나아가 정부가 감축이 어려운 산업·기업은 글로벌 경쟁에서 도태 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고 정책 시그널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생명과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는 기업이 도태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정부는 업종 전환이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기업에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식의 지원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고 공공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국가의 틀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석탄발전소 건설 등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는 기업이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인 척 광고를 하는 ‘그린워싱’에 대해서도 경계했다. 그는 “대량의 핵폐기물을 발생시키는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이 기후위기 시대 친환경 기업인 것처럼 행세하고, 때로는 이런 오염 기업들이 청년 취업난을 계기로 삼아 청년 서포터즈·기자단 등 대외활동을 통해 청년들을 그린워싱에 동원하기도 한다”며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내실화, 공적 금융기관의 스튜어드쉽 코드 강화, 그린워싱 규제 도입 등을 제시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