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파워시프트]주택보급률로 본 주거문화 변천사

양희동 기자I 2015.01.06 03:30:00

1960년대 단독주택 위주 주택보급률 80%넘어
급격한 도시화로 보급률 60%까지 내려가
아파트 공급으로 2000년대 보급률 100%달성
최근 거주에 초점 맞춘 다양한 주택 봇물

△1960년대 이후 산업화 및 도시화의 과정에서 주택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지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우리 주거문화를 완전히 변화시켰다. 1973년말 준공돼 강남 아파트 시대를 연 반포주공1단지. [사진=서울시]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주택에는 재래 한식주택, 일본식 주택, 후생주택, ICA주택 등이 있다.”

1960년 11월 한 일간지에 실린 기사에서 언급된 우리나라 주택의 종류다. 당시 주택은 모두 ‘박공지붕’(ㅅ자 모양)을 올린 1~2층 높이 단독주택(전용면적 40~50㎡) 형태로 아궁이에 불을 때 난방을 했다. 농촌에서는 여전히 볏집으로 지붕을 만든 초가집에 살았다. 아파트가 거의 없었는데도 전국의 주택 보급률은 84.2%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이 심화되기 전이었기 때문이다.

아파트 중심의 주거문화가 시작된 것은 산업화와 함께 ‘이촌향도’(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가 본격화된 1970년대부터다. 인구가 서울·수도권 등 도시로 몰려들면서 1960년대 80%를 넘던 주택 보급률은 70%대로 떨어졌고, 도시지역은 50%를 밑돌면서 주택 부족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1972년 주택건설촉진법을 제정해 10년간 250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기로 결정한다. 이듬해인 1973년 2월 주택법 시행령을 만들어 국민주택 규모를 전용면적 85㎡(25.7평)로 정하면서 면적 기준도 마련했다. 이후 대대적으로 추진된 강남 개발은 보편적인 주거 형태를 아파트로 급속히 바꿔놨다. 특히 1973년 여름 입주자 추첨에 수천명이 몰려든 서초구 ‘반포1단지’(전용 72~138㎡·3590가구)는 강남아파트 시대의 서막을 알렸다. 분양에 따른 시세 차익이 5~6배에 이르는 등 부동산 투기가 고개를 든 시점이기도 하다.

하지만 1970~80년대 인구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로 주택 보급률은 1975년 74.4%, 1980년 71.2%, 1985년 69.8%로 계속 떨어졌고 공급 부족으로 집값은 폭등했다. 결국 정부는 1989년 4월 수도권 1기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분당·산본·일산·중동·평촌 등 5곳에 주택 200만호 건설을 추진했다. 1992년 말 입주가 끝난 1기 신도시는 도시 중산층의 아파트 거주를 완전히 정착시켰고 주택 보급률은 1995년 86%로 껑충 뛰어올랐다.

2000년대 들어 아파트는 한층 진화해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등 초고층 주상복합이 인기를 끌었다. 주택 보급률은 2005~2007년 부동산시장 활황기를 거치면서 100%를 넘어섰고, 2013년 말 기준 103%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에는 20~3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집을 ‘소유’가 아닌 ‘주거’의 목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셰어하우스나 가구 분리형 아파트 등 다양한 주거 형태로 변화하는 추세다.

△1960년 이후 국내 주택보급률 변화 추이. [자료=국토부·단위=%]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