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었다. 미국은 2009년 이후 세 차례에 걸친 양적완화로 3조달러(3450조원)에 이르는 돈을 풀었고 다른 G7국가들도 이에 동조하면서 G7중앙은행이 푼 돈이 10조달러(1경1500조원)를 넘어섰다.
이처럼 지나치게 많이 풀린 돈이 자산 버블을 유발하면서 우려감이 점점 커졌다. 내년 초 퇴임을 앞둔 버냉키 의장 입장에서는 미국의 경기회복 조짐이 구체화되는 현시점에서 이같은 비상조치를 끝내려고 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문제는 버냉키의 출구전략이 경기 연착륙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국의 경제신문 파이낸셜타임스는 “거친 출구전략이 예상되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꼭 매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중국 정부마저 돈줄을 죄고 나설 조짐을 보이면서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우리 경제가 아직 회복세로 돌아서지 않은 시점에서 글로벌 긴축이 이뤄지면 경기가 급격하게 둔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럴 때 정부가 위기관리능력을 보여줘야 한다. 어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전반적인 상황을 점검하고 시장 안정화 의지를 천명한 것은 적절해 보인다. 글로벌 시장이 휘청거리는 상황에서 우리만 대책을 내놓는다고 해서 뾰족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따라서 특단의 대책 보다는 경제주체들의 불안 심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진정한 위기관리 능력이다. 무엇보다 우리 경제는 과거와 비교할 때 내성이 강해졌다. 외환보유액이나 경상수지 흑자 등을 감안할 때 일시적인 충격은 있을지 몰라도 감내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