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년간 장기계약→5년단위로 쪼개 계약
28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의 말을 종합하면 UAE 바라카 원전 운영사인 나와(Nawah)가 장기정비계약의 기간을 나눠서 사실상 단기정비계약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명확한 계약 방식 윤곽은 내달 중순께 드러날 전망이다.
우리 정부는 UAE 원전 건설을 하면서 동시에 최장 15년간 3조원 규모의 정비계약을 수주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5년짜리 단기계약으로 축소될 경우 계약규모는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다.
UAE 측은 당초 한국과 수의계약하려다 2017년 돌연 국제경쟁입찰로 바꿨다. 미국(엑셀론·얼라이드파워) 영국(밥콕)도 경쟁자로 참여한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다른 경쟁자와 가격경쟁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 것이다.
여기에 UAE는 최장 15년간 계약을 5년단위로 쪼개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밝힌 바는 없다.
산업부 관계자는 “협상 내용은 UAE측과 체결한 비밀유지협약(NDA)에 따라 공개할 수 없다”면서도 “UAE측에서 여러 방안을 놓고 저울질 중인 것으로 안다”고 계약변경 사실을 사실상 인정하고 있다.
◇탈원전 탓 vs 유리한 계약 맺기 위한 차원
UAE계약변경이 알려지자 국내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국내에서 탈원전 정책 탓에 신규 원전 건설이 막히면서 원자로 생산업체인 두산중공업과 400여 협력업체 등이 줄줄이 적자 늪에 빠진데다 원자력학과 신입생이 감소하는 등 한국의 원전 생태계가 무너지 조짐을 보이자 UAE가 우리나라와의 장기 계약을 꺼리고 있다는 것이다.
UAE가 한국의 원전 기술 및 운영 능력에 의문을 가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해 UAE 바라카 원전 2,3호기의 격납건물에 공극이 발생해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현재 보수작업을 진행하면서 4호기 준공시기도 당초 2020년에서 2025년까지 늦춰진 상태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점진적으로 원전을 줄이는 정책이라고 반박하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우려는 훨씬 강하다”면서 “탈원전 정책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해외 수출은 지속적으로 한다는 게 상식적으로 맞지 않다”고 꼬집었다.
반면 UAE가 원전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계약 방식 변경을 시도하는 것일 뿐 탈원전 정책과는 무관하다는 분석도 있다.
UAE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 간 경쟁을 통해 가격 협상력을 키우고 원천기술 확보를 시도하려 한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탈원전 정책 등으로 UAE와 불협화음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은 정부로서 수용하기가 매우 어렵다”면서 “계약방식을 변경하려는 것은 UAE 정책적 판단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지 탈원전 정책 탓으로 엮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은 “바라카 원전 공사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한국에서도 한빛1호기 사고 등 원전관리 문제가 계속 불거지는 상황에서 UAE가 리스크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