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마음만은 부자!’ 이 얼마나 아름다운 ‘막말’인가. 애석하게도 세상에 이런 건 없다. 아니 쳐주질 않는다. 부자라고 하면 재산 총량을 좌우할 수 있어야 한다. 경제주체여야 하고. 재산이야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지만 재산을 움직이는 중추역할은 ‘고정’이다. 어쨌든 여기선 ‘마음’을 뺀 물질, 더 구체적으로 ‘돈’을 축적한 부자 얘기를 해보자.
부자가 되려면? 잘 벌고 잘 아끼고 잘 불릴 것. 불후의 명답이다. 하나 더 보탠다면 ‘기술’이란다. 잘 버는 기술, 잘 아끼는 기술, 잘 불리는 기술. 다시 말해 소득·관리·투자기술이란 3박자가 맞아떨어져야 한다는 소리다. 이렇게만 끝난다면 얼마나 좋겠나. 문제는 잘 벌고, 잘 불리는 걸 방해하는 ‘착각’이란 게 생겨 번번이 일을 그르친다는 거다. 거칠게 두 종류다. ‘어떤 일이든 열심히 하면 잘 벌 수 있다”는 허접한 믿음. 주식·부동산 등으로 돈 번 이들에겐 나만 모른 정보가 있을 거란 근거없는 의심. 그래서 투자에도 통찰이 필요하단다. 부가 흐르는 흐름을 짚고 부가 움직이는 때를 간파하는 능력·지혜 같은 거 말이다.
당장 매일매일 가장 치열한 전쟁이 벌어지는 투자시장을 사례로 세웠다. 최종그림은 뻔하다. 승리는 대부분 외국인투자자와 기관이 아니었나. ‘수익은 적게 손실은 크게’란 명제는 이들과 맞서온 ‘개미군단’의 몫이었으니까. 가령 2017년 7월 코스피 시가총액 1∼100위 대형주의 이전 6개월간 상승률은 22%. 코스피 상승률 19.2%를 웃돌았다. 하지만 개인이 주로 투자한 소형주 상승률은 2.2%에 불과했다. 코스피지수가 2000선을 회복한 2012년 2분기에도 외국인과 기관은 매수한 상위 30개 종목에서 49.6%, 59%의 수익을 냈다. 하지만 개인은 코스피 상승률 20.6%를 밑도는 13.7% 수익률뿐이었다.
저자는 이 구조를 이해하려면 가장 먼저 돈의 전쟁을 수행하는 주체를 파악하라고 말한다. 이른바 ‘타짜·빅머니·하우스·호구’다. 타짜는 외국인투자자를 빗댄 것이다. 상대의 패를 읽고 언론과 시장의 소문까지 조작할 수 있다. 빅머니는 돈 많은 기관투자가고, 하우스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국거래소나 금감원인 격. 호구는 당연히 개인투자자다. 상승장에서 잃어주고 하락장에서 더 많이 잃어주는.
굳이 도박판에서나 쓰는 용어를 들이댄 건 역시 합리와는 거리가 먼 시장의 속성을 강조하려 함이다. 투자자에서 호구로 전락하는 이유도 이 안에서 벌어지는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으로 봤다. 이쯤되면 ‘돈 게임의 법칙’을 안다는 게 뭔지 대략 윤곽이 잡힌다. 본능적으로 자본주의가 독점하려 드는 정보와 네트워크를 꿰뚫는 거다. 하나를 덧붙인다면 중국·미국 등 국가 간 경쟁을 읽어내는 능력이라고. 서울의 여의도를 벗어나 좀더 글로벌하게 ‘벌고 불리려면’ 말이다.
△7년 내 저금리·한국&중국 금융위기…‘호기’
‘호구’로 돌아가서. 정말 끝까지 당하는 수밖에 없나. 아니다. 통찰력 따위로 잴 수 없는 호기가 있다. 이는 책의 주제와 맞물린다. 위기 속에 숨은 기회를 잡으라는 것. 이를 위해 저자는 투자시나리오까지 직접 짜서 들이댄다.
큰 그림은 이렇다. 일단 금리. 바로 지금이 저금리잔치의 마지막 국면이며 금리인상이 시작되는 지점이란다. 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어마어마하게 풀린 돈의 힘이 끌어올린 부동산·주식가격이 1∼2년 내 거품을 반납하고 자리를 잡을 거라고도 했다. 다음은 위기. 2008년 발 위기가 두 차례의 고비를 넘긴 뒤 미국경제의 회생을 타고 호황세로 전환할 텐데. 두 차례의 고비란 올해 말부터 내년까지 한국·중국이 순차적으로 치를 금융위기란다. 위기의 본질은 부채다. 한국·중국은 지난 10년간 부채를 늘려 위기를 늦춰 왔는데 결국 올 것이 오는 거라고 했다.
그러면 호기는? 하나는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인상에 따라 생기는 투자기회다. 저자는 20년 이상 미국 장기국채 가격하락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을 꼽았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은 떨어진다. 다른 하나는 2019∼2020년 한국의 금융위기 직후, 주식시장이 충격을 딛고 회복하는 시기다. 원-달러 환율의 급격한 상승에 투자할 수 있고, 코스피 하락방향에도 투자할 수 있단다. 마지막은 중국 금융위기가 만들어내는 기회. 2019∼2020년 한국에서처럼 시장이 회복하는 시점을 잡아 위안화-달러, 주식시장 하락방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2023∼2024년에는 추가적 상승방향으로 갈아탈 수도 있다고 했다.
끝없는 불황·저성장 형세의 드라마틱한 반전. 저자는 이제부터 앞으로 7년여를 50년 만에 찾아온 투자기회라고 치켜세운다.
△투자 신호인지 소음인지 구분… 전문가도 어려워
책은 개인의 ‘부’로 시작해 경계를 스치며 국가의 ‘부’와 맞물리는 구성이다. 과한 구도는 아니다. 세계경제판을 그리는 건 부자의 절대요건이 됐으니까. 다만 과거사 들추기에 빠져 집중력을 떨어뜨린 아쉬움이 적잖다. 부의 흐름을 읽으려 고대 그리스·로마제국을 들러 중세의 포르투갈·스페인을 거쳐 근대의 영국, 현대의 미국까지 내달렸으니. 중앙은행의 탄생을 살피려고 다시 한 번 같은 코스로 세계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제갈공명·유비·조조도 심심찮게 등장한다. 부자의 사고기술인 ‘시스템’을 설명하려 동·서양 사고체계를 들먹이는 무리수까지 뒀다.
‘부자’가 되는 일이 이토록 어렵다고 에둘러 말하고 싶었던 건가. 첫 장의 기대가 마지막 장으로 이어지진 않는다. 못내 섭섭하니 한 가지만 붙이자. 투자의 시점이 신호인지 소음인지를 구분하는 건 전문가에게도 버거운 일이란다. 월스트리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개인투자자라는 제시 리버모어(1877∼1940)조차 신호만 믿고 투자했다가 종국엔 권총자살로 끝을 봤다니. 보통의 개인투자자에게 그나마 위로가 될까. 토인비가 그랬단다. “오늘, 어제와 비슷한 상황이라도 성공했던 전략이 다시 먹힐 거라 생각하진 말라고.” 결국 머리 터지게 오늘의 전략을 뽑아내는 그 시간이 바로 ‘부자의 시간’이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