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전날 향후 5년간 공급 계획을 담은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인허가 기준 서울 50만호를 포함한 270만호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시장에서 가장 촉각을 기울인 재초환과 1기 신도시 재정비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빠지면서 정비 사업 수주에 강점이 있는 대형 건설사의 주가 움직임은 미미할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증권가에선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이나 단기에 공급이 활성화되긴 어려워 당장 건설사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8월 누적 분양 세대수는 약 22만 세대로, 연초 계획인 42만 세대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 완화로 8월 이후 공급 물량이 소폭 늘었지만 금리 인상에 따른 사업성 악화와 실수요자의 이자 부담으로 연내에 공급 물량이 크게 늘기엔 한계가 있다. 오히려 인허가가 대폭 확대될 경우 자금조달 비용과 미분양 리스크를 우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 정비사업 활성화 정책이 법 개정 사항으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정책 효과가 대형 건설사 주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금리 인상 및 공사비 상승으로 정비사업 조합과 건설사에게 비우호적 환경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정책이 건설주 주가에 반전으로 작용하긴 어렵다”고 진단했다.
침체된 국내 주택 시장 대신 최근 해외 사업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최근 유가 급등으로 ‘오일 머니’를 장전한 중동에서 발주를 늘리고 있어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5000억달러(650조원) 규모의 네옴시티 프로젝트를 시작, 서울의 44배 규모의 스마트 도시를 건설할 예정이다. 해외 건설 경험이 많은 국내 건설사가 수주를 따낼 것이라는 기대감에 최근 한 달 사이 KRX건설지수는 20% 이상 급등했다.
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해외 사업에서 도시개발·발전·인프라 공정에 경쟁력을 가진 업체에 선별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현대건설을 수혜 종목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