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의원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 이월드 사고를 언급하며 “한창 꽃다운 나이의 청년이 당한 안타까운 사고에 또래 자식을 둔 아버지로서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라고 썼다.
그는 “정확한 사고원인은 경찰조사 결과 곧 밝혀지겠지만 기본적으로 산업재해에서는 사측의 책임을 간과할 수 없다. 강도 높은 안전 교육과 위험 지역 접근 금지 등 안전조치 의무는 어디까지나 기업에게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더욱이 직원이 정비 도중도 아니고 운행 중인 롤러코스터에 서 있다가 사고가 났다는 것도 선뜻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라며 “매뉴얼에 문제가 있었는지 안전교육이 부실했든지 확인해봐야 하겠지만 분명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었다는 얘기”라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대구 시민의 놀이터인 두류공원에서 이런 사고가 일어났는데 시민들이 안심하고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을 리 만무하다”며 “철저한 사고 규명을 통해 관리 감독 및 안전 교육 소홀 등의 시시비비를 밝혀내고 관련자 문책 등의 강력한 조치와 함께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저 또한 국회 환경노동위원으로서 업체 측이 산업재해를 당한 아르바이트생을 나몰라라 하지 않고 적절한 치료와 보상을 이행하는지, 그 경과를 철저히 지켜보겠다”라고 강조했다.
|
‘허리케인’은 공중에서 360도로 빠르게 회전하는 놀이기구로, A씨는 허리케인 6번째 칸 뒤쪽에 서서 탑승했다가 사고를 당했다.
기구가 출발한 뒤 곧바로 사고가 일어났지만 공원 안의 큰 음악 소리 때문에 A씨의 구조요청은 전달되지 않았고, 운행이 끝난 뒤에야 사고가 난 상황임을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월드 측은 당초 사고를 당한 A씨의 부주의를 탓하는 입장을 냈다가 거센 비난을 받기도 했다.
또 그동안 이월드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사고들이 다시 불거지면서 안전불감증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해 9월 놀이기구 가운데 ‘부메랑’은 날아온 낙엽에 안전센서가 반응하면서 운행 도중 멈춰섰고, 같은 해 8월에는 빗물에 반응한 안전센서로 인해 케이블카 3대가 25분 가량 정지했으며 2월에는 놀이기구 ‘카멜백’이 오작동으로 멈춰 이용객이 불편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2017년 6월에는 어린이 놀이기구 ‘코코몽 관람차’가 운행 중 오작동으로 멈춰 탑승한 어린이들이 지상 8m 높이에 20여 분 동안 매달려 있기도 했다.
경찰은 이번 사고 현장에서 놀이기구 운용 매뉴얼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관리상 주의의무 위반 등이 있었는지 등을 중심으로 조사한 뒤 책임자들을 소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