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발표

[美특징주]모더나, FDA 핵심 인사 사임 여파에 주가 12%↓

정지나 기자I 2025.04.01 00:24:12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생물의약품 심사를 총괄하던 피터 마크스 박사의 갑작스러운 사임으로 31일(현지시간) 모더나(MRNA)를 비롯한 바이오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

이날 오전 11시 5분 기준 모더나 주가는 12.26% 하락한 27.31달러로 52주 최저가를 기록했다. 바이오엔테크(BNTX) 주가는 6.59% 하락한 88.70달러, 사렙타 테라퓨틱스(SRPT)는 7.56% 하락한 65.09달러에 거래되는 등 유전자 치료제 및 백신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마크스 박사는 FDA 산하 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CBER)를 이끌며 백신과 첨단 유전자 치료제 승인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 온 인물이다. 그는 희귀질환 치료제와 백신의 조기 승인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그러나 28일 밤 마크스 박사가 전격 사임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향후 승인 절차와 규제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특히 소형·중형 바이오 기업들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됐다.

이번 사임은 보건복지부(HHS) 장관으로 새로 임명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와의 의견 충돌이 원인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케네디 장관은 백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여러 차례 표명한 바 있다. 마크스 박사는 사임 서한에서 “케네디는 백신 안전에 대한 우려를 해결하고자 하는 나의 노력에 관심이 없었고 오히려 허위정보에 순응하기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 서한은 뉴욕타임스를 통해 공개됐다.

시장에서는 마크스의 사임이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닌, 미국 내 백신 정책 전반에 변화의 신호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 맷 피프스 윌리엄블레어 애널리스트는 “피터 마크스 박사의 영향력이 컸던 만큼 그의 사임은 단기적으로 백신, 유전자 편집, 세포 치료제 개발 기업 전반에 무거운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