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예인을 좋아해 장사까지 하게 됐다는 사장 왕레이(가명)씨는 “엔믹스 배이의 친필 사인이 적힌 포토카드가 1200위안(약 23만7000원)으로 가장 비싸다”며 “주말에 학생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손님이 많이 몰리는데 가격에 큰 상관없이 상품을 사간다”고 말했다.
|
베이징 서쪽 대형 쇼핑몰 조이시티의 즉석사진관에는 한국 아이돌과 사진을 찍기 위한 젊은 중국 여성들로 붐볐다. ‘중국판 인생네컷’으로 불리는 이곳은 BTS(방탄소년단)는 물론 NCT드림, 르세라핌, 세븐틴 등 수많은 아이돌을 배경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BTS와 함께 한참 동안 사진을 찍고 나온 한 중국인은 서툰 한국어로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더니 “한국 아이돌을 다 좋아하는데 그중 BTS의 진이 너무 잘 생겼다”며 팬심을 드러냈다. 옆에 있던 직원은 “요즘에는 엔하이픈이 가장 인기 있는 아이돌”이라고 알려주기도 했다.
같은날 저녁 싼리툰의 한 라이브 카페에선 가수들이 무대에 나와 블랙핑크의 ‘킬 디스 러브’, 빅뱅의 ‘판타스틱 베이비’ 등 한국 노래를 열창하고 있었다. 평일 저녁임에도 자리를 꽉 채운 손님들은 노래를 따라 부르며 열광했다. 이곳 직원은 원래 K팝 공연이 많냐는 질문에 “중국 노래들도 부르지만 한국 노래 인기가 많아 자주 리스트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중국 내 한류, K콘텐츠를 제한하는 ‘한한령’(한류 금지령)이 계속되고 있지만 수도인 베이징에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을 체감하기엔 어렵지 않았다. 중국의 소셜미디어(SNS)인 샤오홍슈(중국판 인스타그램), 빌리빌리(중국판 유튜브) 등을 통해 한국 콘텐츠가 지속 노출되면서 젊은층 사이 K팝과 영화, 드라마 등에 선호도는 높은 편이다.
한국인 가수들만 무대에 오르지 않을 뿐 K팝 공연도 많다. 중국 최대 공연 예약 플랫폼인 다마이에 따르면 당장 다음달부터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에서 K팝을 주제로 한 공연이 줄줄이 예정됐다. 중국인 가수들이 유명 아이돌의 인기곡과 최신곡을 모창해서 부르는 방식이다.
중국 문화여유부에 따르면 다음달에는 걸그룹 엑스지(XG)가 항저우를 시작으로 상하이, 베이징, 청두를 방문하는 아시안 투어를 펼친다. 멤버들 국적이 일본인이라 한한령과 관계 없이 공연이 가능했다. 한국에서 제작해 데뷔했고 한국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이돌인 만큼 투어를 계기로 K팝에 관심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경색됐던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조금씩 개선될 기미를 찾으면서 2017년부터 실시됐던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전면적인 해제가 아니더라도 공연, 방송이 점진적으로 허가되면 그만큼 한국 엔터테인먼트 업계 수혜가 예상된다. 심각한 문제인 콘텐츠 불법 유통으로 인한 피해 예방도 기대 요소다.
중국 내에서도 한국 콘텐츠를 자유롭게 즐기고 싶다는 젊은 세대 요구가 크다. 이날 베이징에서 만난 한 20대 중국인 여성은 “친구들도 한국 가수나 연예인을 좋아하지만 볼 수 있는 콘텐츠가 많지 않아 비공식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중국에서 한류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한다면 양국 교류에도 도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