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순용 기자]아이가 한 살 더 먹고 새 학년이 되면 부모들은 키 성장에 대해 한번씩 고민하게 된다. 또래보다 키가 작으면 성장이 더딜까 염려하고, 유달리 크면 혹시 성조숙증이 아닌가 의심하게 된다. 이처럼 아이의 키 성장에 대해 염려가 된다면, 키 성장속도 및 여러 요인을 살펴봐야 한다.
함소아한의원 조백건 원장은 “소아청소년은 시기별로 키가 크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성장시기에 따라 아이가 충분히 성장하고 있는지 또는 지나치게 크고 있는 지를 파악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유전적 키, 뼈 나이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진단 후,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을 찾아 이에 대한 대처 및 치료가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 연령에 따라 성장 속도 달라서 성장 시기, 유전적 키, 뼈 나이 등 고려하여 치료 판단
키는 성장 기간 동안 일정하게 자라지 않기 때문에 크는 속도에 따라 4가지 시기로 분류한다. 먼저 0-2 세까지 ‘1차 성장 급진기’는 아이들이 엄청난 속도로 자라는 상태로 평생에 있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에 해당된다. 1차 성장 급진기 후에는 ‘성장 완만기’가 오는데 여아는 2-10세, 남아는 2-12세로 사춘기 전까지 꾸준하게 자라는 시기로 보통 1년에 5-6cm 정도 자라난다. 다음은 키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인 ‘2차 성장 급진기’로 사춘기라 표현하며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생기면서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 이 때는 평균 1년에 약 7-13cm까지 성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성장 둔화기’는 사춘기가 지나서 성장 속도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시기로, 약 2-3년에 걸쳐 성장판이 서서히 닫히며 성장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아이가 올바른 성장을 하고 있는지 알려면, 성장 시기가 어느 시점에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준을 잡아야만 1년 동안 키가 잘 자라고 있는지, 성장호르몬 부족이 아닌지를 의심해볼 수 있다. 부모의 유전적 키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유전적 예측신장(MPH)을 계산해보고 크게 벗어나고 있진 않은 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또 또래와 키를 비교하기보단 본인 나이(만나이)와 뼈 나이의 차이가 더 중요하다. 뼈 나이가 앞서 나가면 빨리 성장하는 중이므로 사춘기도 빨리 오게 되며, 뼈 나이가 느리면 좀 천천히 크고 또래 친구들보다 성장판이 늦게 닫히게 된다.
◇ 식습관, 저체중, 수면 장애 등 성장 저해요인 파악하고 꾸준한 운동으로 성장판 자극해야
성장을 방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은 식습관과 체중이다. 잘 먹지 않거나 먹어도 체중이 늘지 않는 아이, 비만인 아이, 복통이 잦은 아이, 설사나 변비가 있는 아이들의 경우 체질 개선을 통해 영양분의 흡수와 에너지대사를 잘 할 수 있도록 몸을 만들어줘야 한다. 또 과도한 당분이나 잦은 간식 섭취는 주의하고, 비타민이나 미네랄 수분 보충에 신경 써야 한다.
수면의 질 또한 중요하다. 몸에 열이 많아서 밤에 뒤척임이 많거나 코가 막혀서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야경증이나 잠꼬대, 이갈이, 코골이 등이 심한 아이들은 수면의 질을 개선해 성장호르몬 분비를 도와야 한다. 또 깊은 숙면을 위해서는 잠들기 전 핸드폰 게임이나 영상 시청은 삼가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방과 후 수업이나 학업 등에 의해 놀 시간이 부족해진다. 따라서 운동도 정해진 시간을 두고, 달리기나 농구, 줄넘기 등의 운동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위아래로 뛰는 운동들은 성장판을 자극하고 심폐기능도 강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자주 햇빛을 보면서 근육과 성장판을 자극하는 운동을 하며 땀과 노폐물 배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백건 원장은 “한의학에서 성장치료는 몸의 저해 요인들을 우선적으로 개선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며 “성장을 위한 영양분이 부족한 경우 식욕부진을 개선하거나, 밤에 코가 막혀서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체질이 허약해 잔병치레가 잦은 아이라면 체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치료 목표를 잡을 수 있다” 고 조언한다. 또 뼈 나이를 측정하여 아이가 클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면서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침치료, 뜸치료, 부황치료 등을 활용하며 병행치료를 진행한다. 벼락치기로 공부하는 아이들이 결국에는 꾸준히 공부하는 아이들을 이기지 못하듯 성장치료 또한 꾸준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