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금리 시대에 대출 절벽인 상황에서 저금리 등을 내세워 은행과 금융 유관기관을 사칭한 대출 사기 행각이 더욱 왕성해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8월 재난지원금과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정부의 자금지원을 빙자한 대출사기 문자와 관련해 소비자경보를 발령했으나, 저금리·고한도에 정부와 은행을 사칭한 메시지가 기승을 부리며 급전이 필요한 금융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29일 금융업권의 따르면 최근 발송되는 대출 피싱 메시지는 정부의 지원 대출에 선정됐다는 문구로 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1금융권에서 진행한다면서 대출자를 안심시키고, 금융유관기관과의 협력 상품임을 강조한다. 신청기한이 짧은 것도 특징이다. 신청 마감이 촉박하다며 전화 안내를 하는 경우도 있다.
앞서 A씨가 받은 문자 메시지의 경우도 한국자산관리공사와 신한은행이 지원하는 대출 상품이라고 속인 내용이었다. 게다가 ‘채무통합-대환대출’이란 문구를 내세웠는데, 이는 지난주 금융위와 교육부가 청년들 중 다중채무자를 대상으로 ‘통합 채무조정’을 시행하겠다고 밝힌 내용과 비슷해 금융당국의 정책인 것으로 둔갑했다. 무엇보다 지원예산 2조원에 대출금리가 연 1.8~3.42% 내외 고정금리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급전이 필요한 상황에서 혹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신청기한 또한 2일간만 가능하다고 하는 등 대출이 시급히 필요한 사람의 절박함을 이용하려 들었다.
대출 절벽 속에 메신저 피싱 등 피해액은 줄고 있지만 여전히 큰 규모를 보이고 있다. 실제 금감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84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6.4% 줄었지만 여전히 크다. 특히 보이스피싱 유형 중 친구나 가족을 사칭해 보내는 메신저 피싱은 상반기 피해액이 4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65.4% 늘었다. 규모도 전체 피해액 중 55.1%나 된다. 메신저피싱은 대부분 아는 사람을 전제로 접근하기 때문에 쉽게 당할 수 있다.
그간 금융당국도 피해를 막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간 100만원 이상의 돈이 입금되면 30분 동안 인출이 지연되는 ‘지연인출제도’를 포함해 각종 안정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당국과 시중은행이 손잡고 피싱을 기술적으로 차단하는 앱을 개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국의 대책보다 피싱 범죄의 속도가 빨라 피해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란 평가도 나오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피해액은 줄고 있지만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이 처음에 접근하게 만드는 후킹(가로채기) 기술은 점점 더 고도화되고 있다”면서 “지연인출제도 등을 통해 이 같은 피싱 수법들을 막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