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700조 푸드테크시장, 선점 기회…실기 땐 해외에 잠식"

김은비 기자I 2023.03.06 05:21:00

백현동 푸드테크 산업 발전협의회 민간위원장
"반도체, AI, 로봇 등 국내 산업 경쟁력 충분해"
"제도 미비·투자 부족에 아직 시작단계 머물러"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푸드테크 산업 투자에 실기하면 700조원 규모의 시장을 해외 기업에 잠식당할 수밖에 없다.”

지난달 발족한 ‘푸드테크 산업 발전협의회’의 민간 위원장을 맡은 백현동 건국대 축산식품생명공학과 교수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푸드테크 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이같이 밝혔다. 협의회는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한 관계부처 8명, 학계·전문가 6명, 푸드테크 기업 10명, 유관기관 2명 등 26명이 뜻을 모았다.

백 위원장은 “발족식날 기업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데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분위기가 뜨거웠다”며 “반도체, AI(인공지능), 로봇 등 푸드테크 산업을 둘러싼 기술과 K-푸드 등 문화적 부분까지 우리나라 산업이 가진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기대감을 전했다.

[이데일리 김태형] 백현동 건국대 축산식품생명공학과 교수가 지난달 22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전세계 푸드테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적극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푸드테크는 단어 그대로 음식(Food)과 기술(Technology)를 합한 신조어다. 식품 등 산업에 4차 산업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형태의 산업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이다. 온라인 배달 플랫폼부터 무인 주문 시스템인 키오스크, 식물과 곤충을 활용한 대체식품, 음식료 제조·배달 로봇 등 분야도 다양하다. 2020년 기준 세계 푸드테크 시장규모는 5542억달러(약 700조원)로 추정되며 우리나라는 61조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특히 2017∼2020년 연평균 30%가 넘는 성장률을 보였다. 백 위원장은 “푸드테크 산업은 앞으로 더 성장할 몇 안되는 산업 중 하나”라며 “수출 효자 품목 발굴이 기대되는 분야”라고 내다봤다.

백 위원장은 “가장 시급한 것은 정부에서 구조적으로 푸드테크를 주요 산업의 하나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푸드테크는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적시에 대규모 투자로 기술을 발전시켜 생산 능력 및 지적재산권을 확충해야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타이밍을 놓쳐 한번 뒤처지면 모든 기술을 선점 당해 끌려다닐 수밖에 없다. 하지만 국내 푸드테크 산업은 글로벌 시장과 비교해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푸드테크 관련 국내 스타트업은 93곳으로 중국(268개), 일본(130개) 등 아시아 지역 내에서도 적다.

이들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자금이 필수적이다. 백 위원장은 “푸드테크 산업을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전용 펀드를 마련한다고 했지만 훨씬 더 큰 규모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산업적으로 큰 지원을 하는 산자부에서 더 적극적인 R&D 및 세액공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푸드테크 산업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다. 현재 식물성 대체식품, 로봇 등 푸드테크 관련 기준·규격 등이 명확히 법제화 돼 있지 않아 제품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그간 법 제정을 위한 움직임도 있었지만 관련 법이 여러 부처에 산발적으로 걸쳐 있어 통합된 제도 기반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협의회에서 각 부처들이 칸막이를 허물고 협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민간 위원의 역할이 특히 중요한 이유다.

백 위원장은 “주요 푸드테크 산업 분야 10개를 기준으로 협의회를 6개 분과위원회로 나눴다”며 “각 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세밀한 검토와 조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또 “앞서가는 미국 등 외국 사례가 있기 때문에 우리 실정에 맞게 벤치마킹도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했다.

백 위원장은 푸드테크 산업을 둘러싸고 기존 식품업계와 갈등 및 안전성 우려 등에 대해서도 살필 예정이다. 그는 “무조건적으로 규제를 풀고 산업만 키우자는 것이 아니다”며 “농민 및 식품업계와 상생 방안을 마련하고 국민 식품안전이 위협받지 않도록 안전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