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국내 도입의 80%를 맡은 가스공사 실질 부담은 이보다 더 크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 가스 수요가 4534만t이었다는 걸 고려했을 때 9월 수준의 수입 단가가 이어진다면 1년 가스 수입에만 664억달러(94조원)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실제 올 9월 국내 가스 수입액은 67억5800만달러(약 9조7000억원)로 지난해보다 2.7배 늘었다.
문제는 10월 이후 LNG 수입단가가 더 오를 수 있다는 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스 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철이 다가오는 가운데, 러시아가 이달 초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 운영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동북아 LNG 현물가격 지표인 JKM은 지난 18일 기준 1MMbtu(열량단위)당 28.654달러를 기록했다. 70달러대를 넘어섰던 지난 8~9월보다는 낮아졌지만 10달러를 밑돌던 지난해 초와 비교하면 여전히 3배 이상 높다. 유럽 주요국이 겨울철 수급 대란 와중에 또다시 가스 ‘사재기’에 나서 국제시세를 끌어올릴 가능성도 적지 않다.
|
전체 LNG 수입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장기도입 가격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장기도입 가격을 결정하는 국제유가가 9월 말 배럴당 80달러대 초반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반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두바이유는 뉴욕상업거래소 19일(현지시간) 종가 기준 90.53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전기·가스료 추가 인상 압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업계에선 가스공사가 정부의 도시가스 요금 인상 억제로 받지 못한 미수금이 연말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다. 가스공사가 올 8월 전망한 8조7700억원을 1조원 이상 웃도는 수치다. 올 상반기 역대 최대인 14조3000억원의 영업적자를 낸 한국전력공사(015760) 역시 하반기에도 상반기 이상의 적자가 예상된다. 증권사는 올해 한전의 적자 규모가 3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10월 전기·가스료를 약 11% 올렸으나 2~3배 가량 오른 원가 부담을 고려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에너지업계 한 관계자는 “1970년대 석유파동 이후 최악의 에너지 위기이고 현 시점에선 이게 언제까지 이어질지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단기적으론 전기·가스료에 원가 상승분을 추가 반영하고 이를 통해 소비를 줄이는 것 외에는 대응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양이원영 의원 역시 “국제적인 에너지 위기로 전 세계가 위기에 처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우리나라의 미래와 비전을 생각해 중·장기적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