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뇌의 앞쪽과 중간 부위 뇌척수액이 비인두 점막 림프관망에 모인 뒤 목 림프관을 지나 목 림프절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배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림프관에 형광 표지자를 발현하는 생쥐 모델과 생체 내 이미징 기술 등 첨단 시각화 기술을 활용해 뇌척수액 배출 경로를 시각화했다. 그 결과, 비인두에서 발견된 림프관들이 서로 정교하게 연결된 림프관망 구조를 가지고 있고, 뇌 안쪽과 바깥쪽 림프관을 연결해 뇌척수액을 배출하는 ‘허브(Hub)’ 역할을 하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노화된 생쥐의 비인두 림프관망은 심하게 변형돼 뇌척수액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특히 노화된 생쥐에서 목 림프관에는 큰 변형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연구팀은 평활근 세포 조절 약물로 목 림프관의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고, 이때 뇌척수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고규영 단장은 “뇌 속 노폐물을 청소하는 비인두 림프관망의 기능과 역할을 규명하고, 뇌척수액 배출을 뇌 외부에서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했다”며 “앞으로 치매를 포함한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에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11일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