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무원 특유의 조직문화 ‘시보 떡 돌리기’는 무엇?
지난달 한 커뮤니티 게시판에 ‘시보 떡’으로 인해 눈물을 흘린 공무원의 사연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시보를 끝낸 동기가 형편이 어려운 탓에 백설기 하나만 돌렸더니 옆 팀 팀장이 이를 쓰레기통에 버렸다더라”며 당사자는 눈물을 흘렸다고 전했다.
‘시보 떡 돌리기’는 공무원들이 임용 후 6개월 시보 기간이 끝나면 직장 동료들에게 감사의 의미로 떡을 돌리는 관행이다.
또 다른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에서도 한 공무원은 “시보 떡 안 돌리는 사람 못봤다”며 “경조사 때 부조금 안 한 느낌”이라고 적었다. 실제로 인터넷 검색창에 ‘시보’를 입력하면 ‘시보 떡’이라는 단어를 연관검색어로 뜨게 된다. SNS에서도 떡 전문점들의 시보 떡 홍보글도 쉽게 볼 수 있다.
이 글이 알려지자 예비 공무원들도 ‘시보 떡 돌리기’ 문화에 걱정을 표하며 공무원 시험 준비 카페에는 ‘시보 떡 이 정도 퀄리티로 해야 하느냐, 정말 싼 거 돌리면 쓰레기통에 버리느냐’ 등 우려섞인 글들이 난무했다.
전직 공무원 A씨는 “임용 후 6개월이 지난 뒤 ‘시보 떡’을 돌렸다”며 “당시 어느 수준까지 맞춰야 하는지 고민을 많이 했고 9급 공무원 월급에 맞추려니 사실상 부담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시대가 변하듯 미담이고 미풍이었던 문화는 발전시켜야 하지만 악습으로 남은 문화는 폐지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A씨는 다른 동료들도 같은 고민을 했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폐쇄적인 공무원 문화가 시니어와 주니어들 간 소통할 수 있는 체계를 막고 결국 업무적으로 ‘갑질’하는 상급자를 신고하기 힘들다”면서 “이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하거나 임용 후 얼마 안 돼 사표 내는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시보 떡 돌리기’ 문화 폐지...종로구가 신호탄 쐈다
지난 17일 이영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시보 떡 돌리기’ 관행에 대해 문제 지적에 나섰다.
이 의원은 “요새는 떡도 돌리지만 피자, 마카롱, 파이도 돌리고 식사 대접도 한다”며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에 들어갔더니 시보 떡 관행에 대해 ‘악습이다’,‘정말 공무원하기 피곤하다’ 등 부정적 여론이 지배적”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19일 전 장관은 자신의 SNS에 “소위 시보 떡이 조직 내 경직된 관행으로 자리 잡으면서 새내기 공무원들에게 부담과 상처가 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며 “각 기관이 조직문화 개선에 힘쓸 수 있도록 조직문화 진단·컨설팅을 진행할 것”이라고 적었다.
전 장관은 “젊은 공무원들의 목소리를 듣고 각 기관의 조직문화 개선 활동과 성과를 공유하는 ‘혁신 현장 이어달리기’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시보 떡 돌리기 문화’는 ‘상명하복’을 근간으로 경직된 공무원 조직 문화에서 비롯됐다며 조직의 폐쇄적 구조가 부당한 일을 겪어도 홀로 감내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로 지난 11월 행정안전부가 공직사회 소통을 위해 펴낸 가이드북 ‘90년생 공무원이 왔다’에 따르면 주니어와 시니어 공무원을 통틀어 52%가 세대차이를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조직 발전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가’란 질문에 주니어 45%가 ‘그렇지 않다’고 답한 반면 시니어는 36%가 ‘그렇다’고 했다.
주니어들은 ‘의견을 내도 바뀌지 않는 결론’ 같은 수직적이고 ‘톱다운’ 방식의 업무환경을 지적했고, 시니어들은 90년대 직원들의 ‘개인주의’에 적응하기 힘들다고 답했다.
해당 문제가 불거지자 ‘시보 떡 돌리기’ 문화 근절을 외친 곳도 생겨났다.
서울 종로구는 올해부터 신입 공무원에게 구청장이 보내는 ‘격려 메시지’와 배치받은 부서의 선배 직원들과 함께 나눌 수 있는 ‘다과’를 제공한다. 시보 기간 동안 조직에 적응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온 직원을 격려하고, 응원을 보내준 선배 직원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서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잘못된 관습은 타파하고 구 차원에서 신규 직원을 격려하고 축하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던 중 시보 떡 대신 도서, 부서 직원들이 함께 먹을 수 있는 다과 지급 등을 고려하게 됐다”라며 “신규 직원뿐 아니라 누구나 일하고 싶은 직장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개인별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