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보건복지부가 분석한 분만 취약 지역 현황에 따르면 인천 강화·옹진군, 경기 연천군, 강원 고성·양구·영월군, 충북 괴산·단양군, 전북 무주·부안군, 전남 고흥·곡성·진도·해남군, 경북 군위·봉화·의성·청송군, 경남 남해·하동군 등 48개 시군구가 분만 취약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들 지자체는 분만 가능 산부인과로부터 1시간이 이상이 소요되는 지역이 시군구 전체 면적의 30% 이상 차지한다. 시도별로는 강원도가 11곳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경북(각 10곳), 경남(6곳), 전북(4곳) 순이었다.
전국적으로 분만 가능 산부인과는 2004년에 1311곳에서 2008년 954곳으로 1000곳 이하로 떨어진 데 이어 2010년에는 808곳으로 줄어드는 등 매년 감소하고 있다. 복지부는 저출산으로 분만실 유지가 어려워진 산부인과들이 분만실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의 감소는 분만 과정에서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신정호 산부인과학회 사무총장(고대 의대 산부인과 교수)은 “진통 후 30분 내에 병원에 도착하는 게 안전하다”며 “분만실 도착 전 차나 집에서 아이를 낳게 되면 감염, 과다출혈로 태아와 산모 모두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분만실이 아닌 차나 가정 등 오염 지역에서 아이를 낳다 발생하는 감염 사고는 산모의 주된 사망원인 중 하나다. 분만실이 아닌 곳에서 아이를 낳다 탯줄이 산도에 끼는 사고(제대 탈출)가 발생하면, 태아에 산소 공급이 안돼 뇌성마비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진통 중 태반이 태아보다 산모의 몸 밖으로 미리 나오면(태반조기박리) 과다출혈로 태아, 산모 모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복지부는 지난해부터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 지역을 선정해 해당 지역 산부인과에 시설·장비구매비 10억 원과 연간 운영비 5억 원을 각각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충북 영동군(영동병원)·전남 강진군(강진의료원), 경북 예천군(예천군병원) 등 3곳이 선전된 데 이어 올해는 경북 영천시(영천병원)·경북 울진군(울진군 의료원)·강원 영월군(영월의료원)·경남 합천군(합천병원) 등 4곳을을분만 취약지 지원사업 지역으로 추가 선정했다.
하지만 의료진 수급 문제와 예산 부족 등으로 전체 분만 취약 지역에 지원을 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진 복지부 공공의료 과장은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은 지역 내 산부인과나 분만실이 없어 산모들이 겪는 불편함을 없애고 안전한 분만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다”며 “하지만 도서 지역에서 근무할 산부인과 의사들을 찾는 게 쉽지 않아 지원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