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내 연구진, 알츠하이머병 억제물질 만들어..신약개발도 가능

이승현 기자I 2014.10.13 02:00:03

서울대·경북대 의대 공동연구팀, 신경염증 억제물질 발견 및 표적단백질 규명 성과
"퇴행성 뇌질환과 염증성 질환 새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을 야기하는 신경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질을 만들어냈다. 연구진은 특히 이 화학물이 어떤 단백질에 작용하는지도 밝혀내 향후 뇌질환 치료제 개발의 길도 열었다.

박승범 서울대 교수
12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박승범 서울대 생물물리 및 화학생물학과 교수와 석경호 경북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뇌에 존재하는 소교세포에 작용하는 신경염증 억제 화합물질인 ‘ICM’을 발견하고 이 화합물이 염증유도 단백질인 ‘HMGB’를 억제하는 것도 밝혀냈다.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온라인판에 12일자로 게재됐다.

중추신경계의 신경 아교세포인 소교세포는 활성화하면 신경염증과 신경독성을 유도한다. 소교세포 활성화가 퇴행성 뇌질환 유발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연구팀은 합성을 통해 만든 약 3500종의 의약유사화합물 가운데 활성화된 소교세포에 선택적으로 항염증 효과를 갖는 물질인 ICM을 찾아냈다. ICM은 ‘염증(Inflammation)을 억제하는 벤조파이란(Chromene)구조 기반의 화합물’이란 뜻으로, 연구팀이 명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특히 ICM에 빛에 반응하는 물질을 결합한 뒤 세포 내에서 빛을 쪼여 표적 단백질과 직접 결합하도록 만들었다. 이 표적 단백질이 형광물질로 표지되도록 해 염증유도 단백질인 ‘HMGB’도 찾아냈다.

이처럼 특정 질환이나 증상을 야기하는 표적 단백질까지 밝혀내면 신약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이 실제 실험에서 뇌염증을 유도한 쥐에게 ICM을 투여한 결과 염증에 의한 뇌손상이 회복되고 마비증상도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M 투여로 뇌척수액과 혈청에서 HMGB 농도도 낮아졌다.

박 교수는 “신경염증 억제물질인 ICM의 효과 증진연구를 지속하면 알츠하이머과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을 비롯해 간염과 췌장염, 관절염 등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교세포 활성화에 따른 신경독성과 ICM 처리에 의한 뇌손상 억제 기작.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