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F는 본PF와 브릿지론으로 나뉜다. 이 중 브릿지론은 부동산 개발사업 과정에서 토지 매입 등 초기 단계에 필요한 대금을 조달하기 위해 일으킨 대출을 뜻한다. 본PF 대비 금리가 높고 사업 진행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부동산 경기가 악화 될수록 위험도가 높다.
다만 제일건설의 경우 사업장 PF 대부분이 담보설정을 비롯한 추가 안전장치가 마련돼 있어 다른 건설사 대비 위험도 자체는 크게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제일건설 관계자는 “보유 PF 상당수가 담보대출 성격이 강해 사업장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담보를 통해 어느정도 충격 완화가 가능하다”며 “감사 과정에서도 이러한 점이 고려돼 현금유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 받았다”고 설명했다.
제일건설은 공사미수금도 크게 늘었다.. 미수금은 도급받은 공사 및 분양을 완료하거나 약속한 진행률에 도달했을 때 발주처에 공사비를 청구했지만 받지 못한 금액을 뜻한다. 대금을 받지 못한 만큼 건설사 자체 재원으로 이를 충당해 공사를 진행한 셈이다.
실제 제일건설의 지난해 말 공사미수금은 4638억원으로 전년 말 1634억원 대비 183.8% 급증했다. 분양미수금과 기타미수금 역시 총 376억원으로 같은 기간 290억원 대비 29.7% 늘었다. 미수수익도 300억원에서 605억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제일건설 관계자는 “고덕강일과 용인영덕, 파주운정 등 지난해 12월 준공 사업장의 경우 올해 초 전체 미수금 2665억원 중 2415억원이 회수됐다”며 “현재로선 미수금에 따른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제일건설의 재무건전성이 아직 양호한 만큼 선제적인 손실 인식을 통해 익스포저를 적극적으로 줄일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건설업 불황이 장기화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만큼 보수적 기조하에 PF 관리에 나서야 된다는 설명이다.
실제 제일건설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79.7%로 재무건전성을 판단하는 기준인 200%를 크게 밑돈다. 단기 현금동원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 역시 173.9%로 적정 수준인 150%를 상회하고 있다. 다만 유동비율과 별개로 현금성자산은 같은 기간 2579억원에서 2371억원으로 줄었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부동산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PF 우발채무 불확실성을 키웠던 요소”라며 “부실 사업장에 대한 선제적 손실 인식을 통해 향후 충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침체기에는 10개 중 9개 사업장의 분양률이 양호하더라도 1개의 사업장에서 PF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체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자금 동원력이 부족한 중견건설사가 받는 충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