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사장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가 21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연 이슈 포럼 ‘초격차 원자력 강국의 길’에서 “외국 SMR 기업은 개념 완성 때부터 마케팅을 시작하고 많은 회사가 인·허가 신청도 않은 이들에 투자하는 중”이라며 “우리도 앞을 내다보고 올해부터 수출 마케팅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
아직 상용화한 기술은 아니지만, 미국, 중국, 영국 등 원자력 강국을 중심으로 이미 막대한 투자와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미 미국 뉴스케일을 비롯한 주요국 공공·민간기업이 80여 종의 모델을 개발 중이다. 중국은 이미 2021년 ACP100이란 SMR 건설에 착수해 2026년 가동 예정이다.
한수원 등 한국 원자력계도 정부 지원 아래 SMR 개발에 본격 착수한 상태다. 정부와 업계는 2019년부터 관련 논의를 시작해 올해부터 6년간 총 3992억원의 비용을 관련 사업에 투입기로 했다. 정부가 2747억원, 민간이 1245억원을 각각 투자한다. 2025년까지 i-SMR 표준설계를 마친 후 2028년 인·허가까지 마친다는 목표다. 설계부터 건설까지 5~6년이 걸리는 만큼 인·허가 `즉시 건설에 착수한다면 2033년엔 i-SMR 4기의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
그는 애플 아이폰을 예로 들며 속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황 사장은 “아이폰이 스마트폰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비결은 고객 관점에서 더 빨리 확장성을 확보한 것”이라며 “SMR의 생사도 스마트폰과 비슷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i-SMR로 전기뿐 아니라 열(지역난방)과 수소를 생산하는 사례를 만들어 에너지 자립형 탄소중립 도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행사에선 황 사장을 비롯한 원자력 전문가가 원전 확대를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 윤종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기존 원전에 맞춰진 원자력 안전기준을 SMR에 맞춰 새로 담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노동석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연구위원은 미국의 사례처럼 민간기업의 SMR 사업 진출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