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긴축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이 예상을 크게 웃돌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폭등세의 물가 고삐를 잡기 위해 기준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가능성이 커진 데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까지 전폭적인 지지 의사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1월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전년 대비 7.5% 치솟은 것으로 발표된 지난 10일(현지시간)“국민의 밥상까지 물가 압박을 받을 정도로 인플레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다짐했다.
미국발 긴축 공포가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Fed가 지난달 초 양적 긴축에 나설 것임을 이미 시사한 데 이어 월가에서는 오는 3월부터 연내 5~6회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파다한 상태였다. 현재 0%인 기준금리가 올해 말 1.5% 수준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견해가 중론이었다. 때문에 국내 주식시장도 코스피가 지난달 24일 2020년 12월 23일 이후 13개월 만에 지수 2800선이 무너진 후 2700선대를 맴돌고 있고, 외환시장은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를 오르내리는 등 불안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자 상황은 더 심각해졌다. 로이터 통신은 “연준이 2000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단숨에 0.5%포인트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커졌다”고 전하고 있다. 0.25%씩 올린 종전과 달리 ‘빅 스텝’ 인상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고용시장이 과열되고 인플레가 심해진 상황에서 3월 정례 회의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다”며 비상 회의 소집을 주장하고 나섰을 정도다.
미국의 급속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우리 경제의 충격은 긴 설명이 필요치 않다. 지난 11일 3년 만기 국채금리가 전일보다 0.08%포인트 급등하며 7년 5개월 만의 최고치인 2.34%까지 뛰었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할 수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코스피가 2500선까지 밀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자산 시장의 거품이 일시에 붕괴하지 않도록 유도해 충격과 혼란을 최소화하는 일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정책 협조를 강화하면서 만반의 대비를 갖추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