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몽니와 함께 미국 역시 북한과의 대화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상태다. 백악관은 29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만날 의향이 없다고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바이든의 접근 방식은 (트럼프 정부와) 상당히 다를 것”이라며 “(김 위원장을) 만날 의사가 없다”고 했다.
사실상 문 대통령의 북미 대화 추진이 호응 없는 외침이 되고 있는 셈이다. 문 대통령은 앞서 지난 26일 제6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사에서 “지금은 남·북·미 모두가 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며 “대화의 분위기에 어려움을 주는 일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발언으로 북미 대화를 촉구했다.
이 같은 발언에 김여정 부부장이 문 대통령을 ‘남조선 집권자’라고 언급하면서 “미국산 앵무새라고 칭찬해 주어도 노여울 것은 없을 것”이라고 원색적으로 비판, 남북 관계를 냉각시켰다. 청와대는 북한의 조롱 섞인 비난에 대해 남북미 간 대화를 위한 노력에 도움이 안된다는 판단을 내리면서도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상태다.
일단 금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되는 한미일 3국 안보실장 회의에 시선이 모아진다. 최종 완성 단계에 다다른 바이든 행정부의 새 대북 정책에 서훈 국가안보실장이 보다 유화적인 정책을 이끌어낼지가 관건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대북 정책에 따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요동치면서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도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실패했다’는 기조를 유지 중이다. 대북 협상의 전제조건으론 비핵화와 인권문제를 거론할 가능성이 관측되면서 한미가 같은 목소리를 내기에도 진통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