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사태로 미증유의 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한민국이 21대 총선이라는 중대 분수령에 직면했다. 모든 건 국민의 선택에 달렸다. 주권자인 국민은 지난 10·11일 이틀간의 사전투표에 이어 15일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한다. 정치인은 오직 투표하는 유권자만 두려워한다는 말이 있다. 투표는 민심의 무서움을 보여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민심이 천심”이라며 입만 열면 국민과 민생경제를 외치는 여야 정치인들에게 이제 회초리를 들 시간이다.
우리의 삶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건 여야 각 정당들의 공약과 정책이다. 물론 코로나19 이슈가 모든 것을 집어삼킨 블랙홀로 작용하면서 이번 총선에서 정책대결은 완전 실종됐다. 이때문에 투표장으로 향하기 전에 여야 정당과 후보들의 공약과 정책을 꼼꼼히 챙겨보는 건 필수적이다. 마음에 드는 후보가 없다 해도 기권은 정답이 아니다. 최선의 후보가 없다면 차선의 후보를 선택하면 된다. 그마저도 판단이 어렵다면 최악이 아닌 차악의 후보를 선택하면 된다. 투표는 말그대로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민주주의의 지름길이다.
모든 선거가 중요하지만 이번 21대 총선의 의미는 더욱 각별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닥쳐올 전대미문의 경제위기 탓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기업들의 줄도산 △대규모 실업사태 △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몰락 등 그동안 상상조차할 수 없었던 퍼펙트 스톰의 경제위기가 다가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국경제는 여지껏 경험해보지 못한 혹한의 환경에 놓일 수 있다 .
이번 총선은 그래서 더 중요하다. 멀리 갈 것도 없이 20대 국회가 반면교사다. 20대 국회 개원 당시만 해도 특권 폐지와 민생 제일주의를 내걸었던 여야는 4년 임기 내내 싸움박질만 벌였다. 대국민약속은 허공에 그대로 날러버렸다. 특히 지난해 패스트트랙 정국에서는 동물국회로 불리는 극한 물리적 대치로 국민의 분노와 짜증을 유발했다. 총선정국에 들어서서도 마찬가지였다. 비례대표용 위성정당 창당이라는 희대의 꼼수 정치에 몰두하면서 당리당략만 따졌다. 한마디로 대한민국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을 허비한 셈이다.
이런 국회의원들을 다시 뽑을 수는 없다. 여야는 그동안 나라 전체를 뒤흔든 코로나19 사태에도 아랑곳없이 표의 유불리만 따졌다. 서로의 이념과 주장을 내려놓고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고민하는 모습은 언감생심이었다. 특히 긴급 재난지원금을 둘러싼 논쟁은 ‘묻고 더블로 가’라는 세간의 우스개가 떠오를 정도였다. 나라 곳간을 고려하지 않고 미래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포퓰리즘의 극치다. 두 눈 크게 뜨고 주인으로서의 권리를 행사하자. 투표는 권리 이전에 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