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마중물, 액셀러레이터]②액셀러레이터, 민간창업생태계 '점프업'

김정유 기자I 2017.12.25 05:00:00

12월 기준 등록 액셀러레이터 55개사, 1년새 14배 증가
도입 1년 만에 제도 활성화 분위기, 원스톱 보육 강점
文정부 창업대책 맞물려 가속화 기대, 법개정 통해 지원책 강화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정부 등록 액셀러레이터 수 추이. (자료=중소벤처기업부)
[이데일리 김정유 박경훈 기자] 3차원(3D) 사운드 이어셋 업체 디지소닉과 인공지능(AI) 기반 용접 품질관리시스템 업체 이노시그널은 ‘액셀러레이터’ 지원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디지소닉과 이노시그널은 각각 올해 8월과 11월 액셀러레이터인 케이벤처그룹으로부터 나란히 1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이들 업체는 케이벤처그룹의 창업기획·보육 기능을 통해 창업 초기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었다. 최근엔 케이벤처그룹 내 해외 전문가들과 함께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현지 벤처캐피털(VC)들을 대상으로 투자 유치를 위한 기업소개(IR)도 했다. 이들 업체는 액셀러레이터가 보유한 해외 네트워킹을 활용해 해외시장에 자사 제품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최근 액셀러레이터를 통해 안정적인 창업에 성공하거나 경쟁력을 키워가는 스타트업들의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해 11월 도입된 정부의 액셀러레이터 등록제도가 안착하면서 민간 주도 창업생태계 활성화가 촉진되고 있다. 특히 단순 투자 지원뿐 아니라 창업기획과 보육 기능이 강화되면서 내실 있는 창업과 스타트업 육성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24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등록된 국내 액셀러레이터는 총 55개사다. 올해 1월 4개사와 비교해 14배나 증가했다.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증가 속도도 가팔라지고 있다. 올 상반기 23개사가 등록된 데 이어 하반기에는 32개가 추가되는 등 한층 탄력을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창업지원법’ 개정을 통해 액셀러레이터 제도가 국내에 도입된 이후 1년여 만에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액셀러레이터로 등록하려면 △자본금 1억원 이상 △전문인력 2인 이상 △보육공간 보유 등 3가지 조건을 갖춰야 한다. 등록될 경우 개인투자조합 결성 권한 부여, 창업팀 투자 관련 양도차익·배당소득 비과세 등 혜택이 제공된다. 또한 중기부 팁스 프로그램 운영사 자격도 등록 액셀러레이터에 우선적으로 부여한다. 팁스는 민간 운영사가 스타트업에 1억원을 선(先)투자하면 정부가 9억원을 지원, 3년간 총 10억원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액셀러레이터 등록제를 도입한 한정화 한양대 교수(전 중소기업청장)는 “이전에도 일부 액셀러레이터들이 있었지만 법적 근거가 없었다”며 “제도화할 경우 세제혜택 등 정부 지원을 통해 더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봤다”고 밝혔다. 이어 한 교수는 “과거 관(官)이 주도해 공공기관, 학교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던 스타트업 보육을 민간 자생적으로 흘러가게끔 해야 한다”며 “정부에서는 앞단에서 액셀러레이터를 지원하고 다음 단계에서 팁스 프로그램까지 연계 지원하면 정책적 효과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액셀러레이터들의 의지도 남다르다. 문재인 정부가 민간주도형 창업생태계 활성화 정책 방향을 확실히 제시한 만큼,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국내외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는 각오다. 박관수 케이벤처그룹 이사는 “엑셀러레이터 사업을 통해 스타트업들의 혁신적인 사업모델과 아이디어를 실현시키고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해외 파트너들로부터 투자 유치나 업무 협업 등 보다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적 뒷받침도 이뤄질 전망이다. 중기부는 내년 액셀러레이터 중심 창업지원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벤처투자촉진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에는 개인투자조합(출자금 총액이 1억원 이상, 조합원 수 49인 이하 제한) 결성 권한만 갖고 있던 액셀러레이터에 출자자 자격 제한이 없는 벤처투자조합 결성을 허용하는 내용의 법 개정이다.

임동우 중기부 투자회수과 사무관은 “벤처투자촉진법 개정은 사실상 액셀러레이터 투자 권한의 문턱 및 범위를 대폭 확대하겠다는 취지로 내년 상반기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투자 자금 유입 측면에서 VC 등 민간 자금 물꼬를 터주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