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게놈분석을 통한 개인형 맞춤의학에 총 2억1000만달러(약 2255억)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민 1000만명의 게놈 샘플을 연구용으로 수집할 계획이다.
미국의 경우 이미 2008년을 전후로 ‘23앤드미’(23andMe)와 ‘디코드미’(deCODEme), ‘내비지닉스’(Navigenics) 등 민간 유전체분석 서비스 회사들이 나오면서 이 시장이 활성화됐다. 특히 23앤드미는 구글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의 아내인 앤 워치츠키가 창업한 기업으로, 99달러(약 10만원)라는 최저가 비용으로 게놈분석 대중화 시대를 열었다.
이 기업은 그러나 부정확한 유전정보 제공을 이유로 2013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제재를 받아 영업을 중단했다 연초 일부 서비스를 다시 허용받았다.
중국 과학기관에서 출발한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는 전세계 유전체 데이터 시장의 20~25% 이상을 차지하는 선두 기업이다. 연매출 2억달러가 넘는 이 회사에는 정보분석 인력만 1000명 이상이 있다.
|
한국의 경우 현재 시장규모가 매우 작은 데다 기술향상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마크로젠(038290)과 테라젠이텍스(066700), 디엔에이링크(127120) 등 민간 유전정보 회사들이 있지만 국내 시장규모는 아직 1000억원대에 불과하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기술수준은 세계 최고인 미국에 비해 57.7%에 머물며 기술격차는 4.2년으로 평가된다.
특히 유전체 분석의 핵심장비인 DNA 염기서열 분석기(시퀀서·Sequencer)의 경우 미 일루미나사(社) 등 외산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유전체 분석분야 연구계와 기업에선 내국인이 유전체분석 서비스를 받으려면 반드시 의료기관 허가를 얻어야 하는 현행 법이 큰 규제라고 지적한다.
해외와 달리 국내에선 개인이 유전체분석 서비스를 직접 신청할 수 없어 활성화를 가로막다는 것이다. 박종화 울산과학기술대 생명과학부 교수(제로믹스 대표이사)는 “일반인이 자유롭게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어야 이 시장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보건당국은 하지만 유전정보 서비스를 검증할 충분한 데이터가 쌓이지 않았다며 이 요구에 매우 신중한 입장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미국에서도 23앤드미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영업을 중단시켰다. 다른 나라도 (완전 허용이 아닌) 제한적 실시를 한다”며 “미국에서 특별한 규제완화 움직임이 없는 한 우리도 신중하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KT, 네팔 로밍요금 감면
☞KT·3D프린팅협, 드론 재난구호 경진대회 공모전 개최
☞KT "기가 UHD tv 가입하고 선물 받아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