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소방방재청과 서울시, 서울도시철도공사 등에 따르면 서울시 전역에 산재돼 있는 4000여개의 대피소 중 북한이 보유한 화력으로부터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곳은 3~4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 서울 신청사와 국방부 등 일부 군사시설이다. 이곳은 콘크리트와 흙이 겹겹이 층을 이루게끔 특수제작한 1m 이상의 천장과 벽으로 보호받고 있어 재래식 무기는 물론 화생방 공격에도 방호가 가능하다.
반면 지하철역, 고층건물 지하 등 일반 대피소들은 대부분 안전을 장담하기 힘들다.
내부를 에워싸고 있는 콘크리트 벽과 천장 두께가 얇고, 지하실 깊이도 얕아 일반 포탄 공격에도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또한 외부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시설이 갖춰진 곳이 드물어 화생방 공격에도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군사 전문가는 “미사일이 한두 개면 몰라도 수십 개가 떨어진다면 80cm 두께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지하철역이 버틸 수 있겠냐”며 “붕괴 가능성이 높은 지하철역은 대피공간으로 부적합하다”고 말했다.
박계향 21세기 군사연구소 국장은 “대피훈련 등 안전교육이 미비할 뿐만 아니라 포탄이 떨어졌을 때 붕괴될 가능성이 큰 지하철역 등 대피소도 문제”라며 “지금 와서 대피소를 다시 만들기는 힘든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들과 시민들은 안전을 보장 받을 수 있는 대피소를 요구하고 있지만 주무부처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예산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방법이 없다는 입장이다.
우성현 소방방재청 민방위과장은 “지하철역 안 등 일반 대피소는 핵과 화학 공격을 막기위해 마련된 곳이 아니다”라며 “일반 공공용 대피시설을 완벽한 방공시설로 개선하려면 예산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