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in | 이 기사는 05월 31일 17시 29분 프리미엄 Market & Company 정보서비스 `마켓in`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
[이데일리 문정현 기자] 물가연동국채가 석 달 연속 발행이 없어 발행 중단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가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지만 별 뾰족한 수가 없어 고민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국고채전문딜러(PD)가 시장조성 의무를 떠안게 되는 것 아니냐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물가채는 지난 2월 2150억원 발행을 끝으로 석 달째 발행되지 않고 있다. 물가채에 대한 관심이 시들해진데다 유통 부족에 매도를 제때 할 수 없다는 약점 때문이다. 재정부가 제시하는 발행금리도 낮아 유통시장에서 더 싼 가격에 살 수 있다는 점도 물가채 인수를 가로막고 있다.
재정부는 "의무 인수가 아닌 옵션 형태의 인수이기 때문에 발행이 되지 않아도 굳이 문제될 것 없다"는 입장이지만, 발행실적이 없는데 대해 "심적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작년 6월 발행이 재개된 이후 1년을 지속하지 못하자 압박감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발행 중단 사태를 막기 위해 지난 4월 초 비공개 간담회를 개최한데 이어 지난 27일에도 간담회를 열어 국고채전문딜러(PD)들과 물가채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나 별다른 대책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PD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이러다 물가채 인수가 PD들의 의무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에서다. 증권사의 한 PD는 "지난주 정부가 물가채 발행과 유통을 늘리기 위해 PD 점수 부여를 하고 싶다고 떠보는 눈치였는데, 참가자들의 의견은 부정적이었다"고 전했다. 예비 국고채전문딜러(PPD) 제도 시행 이후 PD사의 경쟁이 심화된 상황에서 물가채 시장조성을 평가항목으로 넣을 경우 효과는 금세 드러나겠지만 결국 `팔 비틀기`란 지적이다.
정부도 PD사에 의무를 지우고 싶지 않다는 입장이지만, 다른 대책이 딱히 없다는 게 문제다. 현재 정부는 물가채 활성화를 위한 다른 방안으로 ▲물가채 가격산정 방식 변경 ▲5년물 발행 ▲기존 발행물의 조기환매(바이백) 등을 고려하고 있지만 도입이 쉽지 않다.
재정부 관계자는 "평가사들의 계산 방식을 억지로 바꾸지 않는 이상 가격산정 방식을 바꾸긴 어렵고 바이백은 유통 부족을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안이 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5년물 발행이 대안이 될 수 있겠지만 인플레이션의 한 지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드러냈다.
이 관계자는 "앞서 언급한 안을 포함해 여러가지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 후 올 6월말에 있을 PD규정 문구 수정에 발맞춰 활성화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