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르봄바는 고도 10.5㎞에서 투하되어 천천히 하강해 고도 4.2㎞ 지점에서 폭발했다. 폭발이 일어날 당시 화구의 크기는 지름 8㎞로, 무려 100㎞ 바깥의 사람들도 3도 화상을 입을 정도였다. 폭발 후 버섯구름은 에베레스트 높이의 7배인 67㎞ 상공까지 솟아올랐고, 폭발로 인한 충격파로 1000㎞ 밖에 떨어진 핀란드의 유리창이 깨졌다.
|
아이러니하게도 차르봄바 개발 이전에 소련의 수소폭탄 개발을 주도한 과학자도 오펜하이머와 비슷한 길을 걸었다. 소련의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이야기다. 사하로프는 소련 최초의 수소폭탄 ‘RDS-6s’를 만들어냈고, 이후 8년 뒤 차르봄바가 개발됐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사하로프는 사회주의노력영웅 훈장을 3번 받고 스탈린상, 레닌상, 레닌 훈장까지 받았다. 사하로프는 ‘수소폭탄의 아버지’로 불렸으며, 그 자신도 개발 초기에는 ‘더 강력한 무기’를 만들기 위해 몰두했다고 한다.
그러나 사하로프 역시 곧 수소폭탄의 살상력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렸다. 사하로프는 1958년 소련이 핵실험을 중단해야 한다는 특별탄원서를 제출했고, 핵실험을 중단해야 한다는 발언을 이어갔다. 냉전의 한가운데서 지속적으로 핵무기 반대를 외친 사하로프는 ‘인민의 반역자’, ‘정신박약아’, ‘선동꾼’ 등 갖은 비난을 들으며 핍박을 받고 가택연금까지 당했다.
그러나 사하로프와 오펜하이머의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냉전의 시대 평화를 외치는 과학자들의 목소리에 조금씩 핵무기에 대한 위험성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이는 1963년 미국과 소련, 영국이 지하를 제외한 대기권, 우주공간, 수중 등에서 핵무기 실험을 금지하는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PTBT)’을 체결하는 데 이르렀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등 전쟁의 비참함이 가득한 시대에 ‘평화’를 외쳐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