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주변 상황도 만만치 않았다. 버스 폭발로 인한 연기와 파편, 먼지가 인근 차량과 상가를 뒤덮었고 폭발 충격으로 상가 유리창이 깨져 안에 있던 이들을 덮치는 등 평범했던 거리는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사고 당시 241 버스에 있던 승객은 “출발하기 전에는 냉방이 계속되고 있었고, 차가 흔들리지는 않았다”며 “‘펑’하는 소리와 함께 먼지 속에서 눈을 떠보니 버스 뒷바닥이 폭발로 솟구쳐 있었다”고 말했다.
|
이 사고로 버스 운전기사, 주변 차량 운전자 등 총 2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승객 중 가장 큰 부상을 당한 사람은 20대 여성 A씨였다. A씨는 폭발한 버스 연료통 바로 위 좌석에 앉아 복합골절과 발목 절단 등의 부상을 입었고, 한 부상자는 두개골이 파열되는 중상을 입었다. 이외 다른 부상자들은 경미한 부상으로 응급치료만 받고 귀가했다.
해당 버스는 압축천연가스(CNG)를 연료로 쓰는 친환경 버스로, 기체 상태인 압축천연가스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경유 차량과 비교했을 때 매연이나 미세먼지가 없고 소음 발생도 절반 수준으로 적었다. 이에 서울시는 모든 시내버스를 CNG 버스로 교체하려고 했으나 사고후 그 계획은 4년 가량이 늦어졌다.
서울시민의 발이 되어주는 시내버스에서 일어난 폭발 사고는 파장이 컸다. 언제 폭발할지 모른다는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졌고 버스 안전 점검에 대한 필요성도 커졌다.
당시 검찰은 검찰은 해당 버스 회사인 D 여객이 연료통 분리 검사 같은 정밀검사를 제대로 실시하지 않았는지 여부 등을 집중 수사하고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교통안전공단, 한국가스안전공사에 감정·검사를 의뢰했다.
그 결과 사고 원인은 버스 연료통 손상과 압력조절밸브 오작동 때문으로 밝혀졌다. 이중 구조로 된 연료통 외부에 균열이 발생한 상태에서 금속 내피가 폭염 등으로 상승한 내압을 견디지 못해 폭발한 것이다.
이에 2012년 12월 18일 서울동부지검 형사3부는 “D 여객과 버스를 검사한 N 검사소가 매뉴얼에 따라 가스용기(연료통) 손상 여부 등을 정기 점검했지만, 차체 하부에 가스용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점검하도록 돼 있어 손상을 발견하기 어려웠던 만큼 과실이 인정되지 않는다”며 D여객 정비반장 박모 씨 등 관계자 5명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이렇게 2년 후 CNG버스 폭발사고는 검찰이 버스 회사 관계자 전원을 무혐의 처분하며 일단락됐다.
사고 후 시민들의 발이 되는 시내버스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도 나섰다.
CNG자동차 내압용기 안전관리 체계를 국토해양부로 일원화하고 교통안전공단은 이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전국적인 검사시설을 확보했다. 또 CNG자동차 및 내압용기의 제조부터 파기까지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내압용기전산관리시스템 구축하는 등 안전한 시내버스로의 탈바꿈을 시도했다.
사고 후 13년이 지난 현재 서울에서 운행 중인 7400여대의 시내버스는 모두 CNG 버스로 운영되고 있다. 앞으로 서울시는 2025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40% 이상인 3000대를 전기버스로 보급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