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까지도 독일 고급 자동차 브랜드는 튜닝과 관련한 공식 파트너사가 있다. 벤츠의 브라부스(BRABUS), BMW의 AC슈니처, 아우디·폭스바겐의 압트(ABT)가 대표적이다. 이들 튜닝사는 완성차의 서비스센터나 레이싱 팀을 운영하는 등 방식으로 서로가 ‘윈윈’하는 관계를 형성했다. 대형 튜닝사가 성장하면서 중소 규모의 튜닝사도 함께 발전했다. 중소회사는 한 가지 제품이라도 정부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해 공신력을 얻고 협회의 일원이 되려고 노력했다. 자동차 튜닝 시장은 범위가 넓다. 흔히 알고 있는 유리 썬팅과 오디오 교체, 외장관리부터 서스펜션, 엔진 튜닝, 휠, 타이어 교체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런 자유경제의 테두리 안에서 산업이 살아 숨쉬고, 경제활동이 일어났다. 연 23조원에 달하는 독일 자동차 튜닝 시장 활성화의 선순환 구조다.
물론 독일 정부와 협회가 무분별하게 튜닝을 권장하고 지원한 것은 아니다. 협회 가입을 위한 인증 절차는 놀랄 만큼 까다롭다. 그러나 정부는 일단 협회 가입 회사는 그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공신력을 제공해 준다. 독일 정부는 튜닝시장 활성화의 목적으로 ‘소비자가 만족하는, 피해가 없는 튜닝’을 내걸고 있다. 소비자가 튜닝에 들이는 돈과 시간, 노력에 대한 값어치를 할 만큼 튜닝의 품질과 사후관리가 보장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독일의 사례처럼 정부가 앞장서서 자동차 제조사와 튜닝회사의 가교 역할을 할 때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고 피해는 없는 건전한 튜닝 시장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국내 자동차 회사도 더는 소비자의 튜닝 욕구를 외면하지 말고 기술협력이나 레이싱팀 운영 제안을 맡겨줘야 한다. 국내 자동차 회사도 이제 기술로나 규모로나 세계 정상급 수준으로 성장했다. 튜닝 활성화 노력은 결국 자동차 제조사에도 기술력 향상이라는 이익을 가져다준다. 정부와 협회, 제조사, 튜닝회사, 소비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